산업 IT

[정부 AI산업 육성에 5년간 1조 투자] "세계최고 지능형SW 개발" 민관 'AI드라이브' 본격화

정부 기술 예산 지원 역할에 기업이 ICT결합 기술 주도

"기존 R&D 포함 실적 과장… 알파고에 정책 급조" 비판도


미래창조과학부가 17일 국내 인공지능(AI)의 종합 육성책 격인 '지능정보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한 것은 융·복합 신사업의 '총아'로 떠오른 AI 산업 발전에 민·관이 합동으로 역량을 모으기 위해서다.

세계 AI 기술 선두권인 미국(2.4년), 일본(1.1년)과의 기술격차가 크고, 중국과는 0.3년 격차로 따라잡히는 것이 시간문제일 정도로 위기감이 높은 상황에서 AI 기술 개발과 시장 확대, 인력 양성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최근 치러진 이세돌 9단과 구글의 AI 프로그램 '알파고'와의 대국으로 AI에 대한 주목도가 어느 때보다 높은 점을 고려하면 지금이 'AI 드라이브'를 걸 적기라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이날 "'알파고 쇼크'를 계기로 인공지능 개발의 자극을 얻은 것은 역설적으로 상당히 행운이었다"고 강조했다.

우선 AI를 포함해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한 '지능정보기술' 개발은 지능정보기술연구소에 참여한 기업이 주도하도록 하고 정부는 연구·개발(R&D) 기초·공통 기술이나 연구비 등을 지원해 밑거름 역할을 한다. 구글이나 IBM,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공룡들이 기업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AI 기술 혁신을 일궈낸 만큼 기업이 중심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김용수 미래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정부는 기업을 돕는 형태이고, 기업들이 단기간 최고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지능정보기술 연구소는 AI 개념인 '지능형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202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미래부가 올해 지능정보기술 연구소 설립과 인력 확보, 인프라 조성에 1,388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는데, 이중 연구소 설립에 쓰이는 300억원을 제외한 1,088억원은 슈퍼컴퓨터, 신경칩, 클라우드 서버와 뇌과학·뇌구조, 산업수학 등 기존 기초과학 R&D 예산에 포함돼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미 진행하는 연구를 지능정보 정책과 묶어 일종의 과시성 정책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미래부 측은 "(지능정보기술) 연구소만 새로 설립한다고 AI가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기초과학 R&D나 소프트웨어 인재양성 같은 기존 정책과 종합돼야 효과가 큰 것"이라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