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한국 상장채권 보유 1위에 올랐다.
17일 금융감독원은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중국의 우리나라 상장채권 보유액은 17조5,090억원으로 14조3,900억원을 보유한 미국보다 3조원가량 많다고 밝혔다. 중국이 한국 채권의 최대 보유국가로 올라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월 한 달 동안 미국은 3조6,580억원어치의 채권을 내다 판 반면 중국은 740억원어치를 사들이며 중국과 미국의 순위가 뒤바뀌었다. 중국은 2013년 1월 말 10조9,390억원 머물렀던 보유액을 2013년 12월 말 12조5,090억원, 2014년 말 18조6,540억원, 2015년 말 18조940억원으로 꾸준히 늘렸다. 2월 한 달 국내 상장채권 보유액을 4조4,000억원 줄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2월에 외국인이 국내 채권을 대량 처분했지만 3월 들어서는 외국인의 채권 순유출액이 1조원 미만으로 진정세에 접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외국인은 2월 한 달 동안 국내 주식을 2,000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주요 순매도 상위국은 미국(8,869억원), 영국(4,800억원), 케이만아일랜드(2,629억원)였다.
주요 순매수 상위국은 싱가포르(1조4,251억원), 프랑스(2,768억원), 캐나다(1,955억원)로 나타났다. 2월 말 기준 한국 주식 보유 현황은 미국이 161조7,06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영국(33조2,950억원), 싱가포르(24조6,800억원), 룩셈부르크(24조970억원), 아일랜드(14조3,880억원) 순이었다.
중국은 상장채권 보유국 1위에 올랐지만 주식 보유액은 8조4,020억원으로 11위에 그쳤다.
17일 금융감독원은 지난 2월 말 기준으로 중국의 우리나라 상장채권 보유액은 17조5,090억원으로 14조3,900억원을 보유한 미국보다 3조원가량 많다고 밝혔다. 중국이 한국 채권의 최대 보유국가로 올라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월 한 달 동안 미국은 3조6,580억원어치의 채권을 내다 판 반면 중국은 740억원어치를 사들이며 중국과 미국의 순위가 뒤바뀌었다. 중국은 2013년 1월 말 10조9,390억원 머물렀던 보유액을 2013년 12월 말 12조5,090억원, 2014년 말 18조6,540억원, 2015년 말 18조940억원으로 꾸준히 늘렸다. 2월 한 달 국내 상장채권 보유액을 4조4,000억원 줄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2월에 외국인이 국내 채권을 대량 처분했지만 3월 들어서는 외국인의 채권 순유출액이 1조원 미만으로 진정세에 접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외국인은 2월 한 달 동안 국내 주식을 2,000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주요 순매도 상위국은 미국(8,869억원), 영국(4,800억원), 케이만아일랜드(2,629억원)였다.
주요 순매수 상위국은 싱가포르(1조4,251억원), 프랑스(2,768억원), 캐나다(1,955억원)로 나타났다. 2월 말 기준 한국 주식 보유 현황은 미국이 161조7,06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영국(33조2,950억원), 싱가포르(24조6,800억원), 룩셈부르크(24조970억원), 아일랜드(14조3,880억원) 순이었다.
중국은 상장채권 보유국 1위에 올랐지만 주식 보유액은 8조4,020억원으로 11위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