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ISA 가입하고 싶어도 못하는 금융권 수장들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가입 제한에 계좌 개설 못해


금융사들이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고객 유치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금융권 수장 대부분은 요건이 맞지 않아 ISA에 가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SA가 중산층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상품이기 때문에 지난해 금융소득 2,000만원이 넘는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17일 금융계에 따르면 하영구 은행연합회장과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과 같은 주요 협회장 외에 대형 금융지주 회장, 주요 은행장 및 증권사 대표들 상당수는 ISA 계좌를 만들지 못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날까지 ISA에 가입한 증권사 최고경영자(CEO)는 자사 일임형 상품에 2,000만원을 맡긴 권용원 키움증권 대표와 전날 계좌를 만든 김원규 NH투자증권 대표뿐이다.

은행권에서는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조용병 신한은행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이경섭 농협은행장 등이 ISA 계좌를 개설했다. 반면 4대 금융지주 회장 중 김용환 농협금융 회장을 제외한 윤종규 KB금융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은 가입하지 않았다.

이는 ISA의 엄격한 가입 요건 탓이다. ISA는 애초에 영국이나 일본과 마찬가지로 전 국민이 가입할 수 있는 모델로 추진됐지만 부자 감세 논란을 피하기 위해 가입 대상이 대폭 제한됐다. 이 때문에 ISA는 기본적으로 소득을 입증할 수 있는 근로 소득자나 자영업자와 같은 사업 소득자, 농어민이 가입 대상이며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됐다. 연봉 외에 각종 성과급 등을 합치면 연간 수십억원을 받는 금융권 수장들이 ISA에 가입할 수 없는 이유다.

금융계 관계자는 "ISA는 연 소득 5,000만원에서 1억원 사이의 중산층이 가장 큰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금융자산이 많은 이들은 가입할 수 없다"며 "은행과 증권업계 최고경영자들이 ISA 가입자 유치전에 적극 뛰어들고 있지만 정작 본인은 가입하지 못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