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뇌졸중 회복돼도 10명 중 4명 일자리 잃어"

삼성서울병원, 뇌졸중 환자 933명분석

"여성·고령·저학력 일자리 복귀비율 낮아"

뇌졸중으로 쓰러진 환자 10명 가운데 4명은 신체기능이 회복돼도 일터로 돌아가지 못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성이거나 나이가 많고, 학력이 낮을수록 일터 복귀율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김연희·장원혁 교수)연구팀은 지난 2012년 8월부터 2014년 10월 사이 전국 9개 병원 뇌졸중 환자 933명을 조사한 결과 40%(373명)가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연구 결과 933명 중 일자리를 되찾은 60%(560명)는 대부분 예전과 같은 곳에서 근무했고, 일부는 일터가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뇌졸중 환자는 모두 발병 전 직업을 가지고 있었으며 발병 6개월 후 평가에서 신체활동 및 인지기능이 정상수치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뇌졸중 환자의 일터 복귀에는 성별과 나이가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미만 남성은 70.2%가 일을 되찾았지만, 여성은 같은 조건에서 48.3%에 불과해 큰 차이를 보였다. 65세를 넘는 경우 남녀 모두 일터로 되돌아가는 비율이 절반을 밑돌았다.

관련기사



교육 수준 또한 뇌졸중 후 일을 계속할 수 있을지 가늠하는 척도가 됐다. 직장 복귀에 성공한 560명 중 대졸 이상 학력이 38.4%로 가장 많았고, 고졸이 33.2%로 그 뒤를 이었다.

직업별 복귀비율을 따졌을 때 최상위 직종으로 농업이나 어업, 임업이 꼽혔다. 해당 분야 종사자의 66.4%가 다시 일을 손에 잡았으며, 전문직 종사자가 62.4%로 뒤를 따랐다. 반면 군인은 36.4%로 전 직종 중 가장 직업 복귀비율이 낮았다.

이런 차이는 뇌졸중 환자들의 삶의 질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결과 직업에 복귀한 쪽이 그렇지 않은 쪽보다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우울감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연희 교수는 “뇌졸중 환자의 치료계획에 직업재활 등 다방면을 넣어 사회복귀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기대수명이 늘어나는 시점에서 뇌졸중 때문에 경력이 단절되지 않도록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