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난치성질환 세포치료제 개발에 힘모은다

CiM융합연구단 25일 출범

급속한 고령화에 따른 암발생 및 사망률 증가에 따른 사회적 관심이 되고 있는 난치성 암치료를 위한 융합연구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25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CiM 융합연구단’ 현판식을 개최한다. CiM 융합연구단은 주관기관인 생명연을 중심으로 화학연, 기초연, 서울아산병원, 다이노나, 대웅제약, 포항공대, 성균관대을 중심으로 3년간 총 250억원을 투입해 줄기세포 유래 맞춤형 융복합 NK세포치료제 개발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융합연구단은 다양한 항암면역치료 기술과 융합을 하는 동시에 기존 항암체, 항체, 나노 기술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신규 융복합 치료를 개발해 암치료 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넓히는 실용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융합연구단은 i-메디슨(나의 맞춤치료)이라는 비전 아래 새로운 유전자 NK세포 치료제, 항체 융합치료제, 항암제 융합치료제를 개발하고 전임상 및 임상연구를 통해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이 치료 기술들은 현재 난치성 암인 백혈병, 폐암치료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예상되며 새로운 항암면역치료제 시장을 개척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인표 융합연구단장은 “현재 치료방법이 없는 난치성 암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줄 수 있는 맞춤형 융합 세포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co.kr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