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400만년전, 술과 함께 시작한 인류 문명

[신간] 술의 세계사

패트릭 E. 맥거번 지음, 글항아리 펴냄

술의 세계사술의 세계사





“만약 술이 없었다면 지금과 같은 인류 문명도 없었을 것이다.” 새 책 ‘술의 세계사(원제 Uncorking The Past·과거의 병마개를 뽑기)’의 저자는 지구 상에 술이란 것이 생겨난 기원부터 시작해 인류가 술을 만들고 확산시키는 과정을 추적하며 이렇게 결론 내린다.

거의 모는 문명권에는 술, 즉 발효주를 만들고 마신 사실이 확인된다. 그 기원은 무려 4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저자는 인류의 조상들이 우연히 술을 제조하는 방법을 알아 냈을 것으로 추정한다. ‘물웅덩이에 우연히 떨어져 발효가 된 보리나 쌀과 같은 발아 곡물들을 주워 먹었을 것’이라는 식이다. 발효된 이런 곡물이 바로 발효주다.


인류의 조상들은 이런 곡물을 먹다가 즙을 내서 먹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더 많이 즐기기 위해 한곳에 정착해 곡물을 길러야겠다고 생각을 한다. 기존의 ‘빵을 얻기 위해 함께 모여 농경을 시작했다’는 가설과는 완전히 다른 접근이다.

관련기사



저자는 “농경이 기원은 배고픔보다는 갈증이 더 큰 계기였을 것”이라며 “보리의 재배는 빵보다 맥주를 만들려는 욕심으로 시작됐다”고 주장한다.

책은 술이 발효 음료 이상의 역할을 하며 인류 문명을 한 단계 진보시켰다고 본다. 술이 인간의 자의식을 촉진하고 예술·종교 등 인간다운 특성을 끌어냈다는 것이다. 피라미드나 잉카 궁전 등 인류 문명의 위대한 유산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일꾼들에게 많은 양의 술이 제공됐다는 것이 고고학적으로 확인된다. 그렇다면 술이 이들 노동자들의 가혹한 노동을 견디게 했고 덕분에 우리가 현재 이런 유적을 볼 수 있게 된 셈이다. 고대로부터 인간은 술을 바치고 마시는 것으로 종교의식을 치렀는데 이런 풍습은 오늘날 천주교 미사에도 남아있다.

저자인 패트릭 E. 맥거번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박물관 생체분자학 연구소의 과학 담당 국장이자 펜실베이니아대 인류학과 겸임교수다. 역사와 자연과학을 결합한 분자고고학 분야를 개척한 선구자로 옛사람들이 무엇을 어떻게 먹고 마셨는지 연구하고 있다. 2만2,000원.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