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총선D-19]명분 얻은 친박, 실리 챙긴 김무성...사실상 "무대 우세승" 평가

새누리 공천파동 극적 마무리

친박계 靑공천의지 반영에

텃밭 대구 지지율 반등 기대

金대표는 비박 명예 지켜줘

대권가도 우군 얻는데 성공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전날 공천보류 지역에 대한 무공천 방침을 밝히면서 촉발된 이른바 ‘직인 보이콧’이 결국 황금비율의 타협점을 찾으며 끝을 맺었다. 김무성 대표는 “당의 갈등을 봉합하고 파국을 막기 위한 대표의 고뇌에 찬 결단”이라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직인 보이콧 사태의 승자는 김무성 대표라는 분석이 많다.

당의 공천배제에 반발해 무소속 출마를 결행한 친이계 맏형인 이재오 의원과 대구 비박의 핵심인 유승민 의원 지역의 무공천을 위해 전면에 나서는 모양새를 취하면서 비박인 이재오·유승민 의원을 지지세력으로 끌어들이는 데 유리해졌다는 분석이다. 이렇게 되면 4월 총선 이후 벌어질 당 지도부 재편과정에서 친이와 유승민계가 김무성 대표의 지지세력이 될 가능성도 있고, 유승민 의원이 국회에 입성하게 될 경우 당 요직까지 맡을 수 있어 김무성 대표로서는 확실한 대권가도의 우군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당 관계자는 “유승민 의원이 20대 국회에 입성하면 대구 비박의 구심점이 될 것”이라며 “김무성 대표의 우군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무기력했던 당 대표의 이미지도 개선할 수 있게 됐다. 새누리당 공천과정에서 김무성 대표는 “100% 상향식 공천”을 주장했지만, 전략공천을 앞세운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에 밀리면서 “원칙도 못지키고 (당 대표로서) 리더십도 제대로 못 보여줬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공천 결과 전국 253개 지역구 가운데 꼭 경선해야 하는 지역이 161곳이었는데 경선은 141곳에서 열리면서 국민께 약속드린 국민공천제가 100% 관철되지는 못했다”며 고개까지 숙여야 했다. 하지만 이번 직인 보이콧으로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 주도의 공천을 ‘당헌·당규 위반’을 이유로 일부라도 바로잡는 점에서 나름 성과라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당초 무공천 방침에서 한발 짝도 물러나지 않을 것 처럼 하다가 막판에 친박 후보가 나선 대구 동갑(정종섭)·달성(추경호) 지역을 공천지역으로 결정하는 등 양보하면서 청와대와 정면 충돌하는 파국도 피하게 됐다. “이재오·유승민 등 비박핵심을 얻는 실리는 챙기면서 정종섭·추경호 등 친박핵심을 주는 ‘절묘한 타협안’이라는 해석이 그래서 나온다. 청와대 공천의지가 반영됐다는 점에서 친박은 나름대로 명분을 얻었고, 비박인 김무성 대표는 친이와 유승민계를 동시에 얻는 실리를 거머쥔 셈이다.

하지만 최악의 파국을 막은 타협안이라고는 하지만, 여진은 이어질 전망이다. 대표적으로 집권 여당이 텃밭인 대구와 강남(송파)에 후보를 내지 않는 무공천은 역대 처음이어서 책임론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대구와 송파의 경우 후보만 내면 당선은 100%”라며 “최소 국회의원 의석수 2개를 포기했다는 점에서 선거결과에 따라 책임소재가 제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친박인 서청원 최고위원은 “3곳이나 무공천하는 역대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데 대해서는 김무성 대표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쏘아붙였다. 일부에서는 김무성 대표의 ‘30시간 법칙’이 이번에도 예외가 아니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무성 대표는 어떤 일을 결행한 후 30시간도 채 안돼 타협해 왔는데, 이번 직인 보이콧 파동에도 고스란히 드러났다는 것이다. 무소속 출마한 조해진 의원은 “(김무성 대표가) 자기 것 다 챙겨놓고 모든 상황이 종료되기 전에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외마디 소리를 질러보는 수준”이라며 혹평했다. 무공천 혜택을 받은 이재오 의원은 “누가 봐도 나보다 경쟁력과 지역 지지도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떨어지는 사람을 무리하게 공천하려 하다가 역풍이 부니까 다른 방법이 없었던 게 아니겠느냐”며 별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박종희 공관위원(제2사무부총장)은 “장고끝에 악수를 둔 것이지만, 최고위에서 정치적 결정을 내린 만큼 받아들여야 한다”며 “공관위와 최고위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며 여진확산을 막는 데 주력했다.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