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박정원 효과...신바람 난 두산주

두산DST 매각 등 적극

그룹 재무구조 개선 기대

인프라코어 9.8% 뜀박질

박정원 (주)두산 지주부문 회장박정원 (주)두산 지주부문 회장






두산의 ‘4세 경영시대’ 개막과 재무구조 개선 기대감에 두산 관련주들이 일제히 상승세를 타고 있다.


2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두산그룹주들은 ‘박정원 효과’와 두산DST의 매각 기대감에 일제히 오름세로 돌아섰다.

관련기사



두산인프라코어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9.8% 오른 6,500원에 장을 마쳤다. 또 두산은 전일보다 2.91% 상승한 8만4,900원에 장을 마감했으며 두산중공업도 4.16% 올라 2만1,300원에 장을 마쳤다. 경기악화로 실적이 부진한 두산엔진과 두산건설의 주가도 각각 3.88%, 0.12% 올랐다.

시장은 박 회장의 취임과 함께 두산DST 매각으로 두산그룹의 재무구조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박 회장은 전날 취임식에서 그룹 재무구조 개선 및 마무리, 신규사업 조기정착 및 신성장동력 발굴, 현장중시 기업문화 구축 등 세 가지를 미래를 위한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현재 두산그룹은 주력 자회사의 실적이 악화된데다 과도한 금융 비용까지 겹쳐 그룹 전반적으로 유동성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두산그룹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73%가량 감소한 2,646억원에 그쳤다. 특히 핵심 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는 영업이익이 90% 감소한 274억원을 기록했다.

두산 DST의 매각 등 재무구조 개선도 주가에 긍정적이다. 두산DST의 매각과 두산인프라코어 등 계열사의 사업구조 개편이 완료되면 3조원가량의 자금이 그룹 재무구조 개선에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핵심계열사인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해부터 인력 및 사업구조를 대폭 개선하고 공작기계 사업 부문 매각 작업을 진행하는 등 대대적인 재무구조 개선에 나섰다. 향후 공작기계 사업 부문 매각이 완료돼 1조1,300억원이 유입되면 부채 비율도 203%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반기에는 밥캣을 상장해 약 8,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조달해 차입금 상환과 투자 목적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서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