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국토부, '제2차 공간정보산업 진흥 기본계획' 마련

국토교통부는 공간정보산업을 국가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제2차 공간정보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30일 밝혔다.

계획안에 따르면 우선 창의적인 융·복합 산업 창출 지원을 위해 미래수요예측 등을 기반으로 한 공간정보분야 국가기술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통해 미래성장동력과 연계한 융복합 산업 발굴 및 시범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국가기술지도는 미래 시장을 예측해 미래에 발생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할 기술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추진방안을 선정하기 위한 기술 기획의 한 방법이다.


또 스타트업 지원 확대와 창업경진대회, 기존 기업과의 교류 등 창업행사를 활성화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융·복합 영역을 확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융·복합을 통한 공간정보 활용성 제고’를 위해 정부 3.0 기조에 따라 법으로 제한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간정보를 전면 개방하고, 다원화된 공유시스템 연계로 플랫폼 기반 공유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공간정보기업의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해서는 연구개발비 등에 세제혜택과 기술보증,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 인력 등 성장 전반에 대해 지원하기로 했다. 융?복합 분야와의 패키지형 수출 모델을 개발하고 국토정보공사가 먼저 진출하거나 중소기업과의 컨소시엄 구성 등을 통해 우수 공간정보기업의 해외 진출을 촉진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으로 5년간 총 798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라며 “2020년까지 산업 규모 15조원, 종사자 수 10만명 수준으로 공간정보산업을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