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경주 월성서 '통일신라 관청' 추정 건물터 확인

사방 50m 담장 건물 14기 흔적

‘토제 벼루’ 50점 무더기 출토

문서작성 많은 공공기관인 듯

경주 월성 발굴현장에서 가로 세로 50m의 정사각형으로 축조된 담장의 흔적과 함께 14기의 통일신라 시대 집단 건물터 흔적이 발견됐다. /사진제공=문화재청경주 월성 발굴현장에서 가로 세로 50m의 정사각형으로 축조된 담장의 흔적과 함께 14기의 통일신라 시대 집단 건물터 흔적이 발견됐다. /사진제공=문화재청




신라의 천년 왕성인 경주 월성(사적 제16호)에서 관청 자리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 후기의 집단 건물터가 하나의 담장에 둘러싸인 상태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심영섭)는 30일 경북 경주시 인왕동 일대의 월성 발굴현장에서 동서 51m, 남북 50.7m의 정사각형으로 둘러친 담장 안팎으로 총 14기의 건물이 있던 흔적을 공개했다. 특이하게도 이들 건물지에서는 흙으로 만든 ‘토제 벼루’가 50점(편) 이상 무더기 출토됐다. 연구소 측은 주변의 동궁과 분황사 등에서 출토된 벼루의 양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미루어 “이곳에 문서를 작성하는 중심공간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조직적으로 대량의 문서를 작성했다는 것은 이 지역이 당시 ‘관청’이었음을 추론하게 한다. 지금으로 치자면 서울 광화문의 정부종합청사나 세종시의 공기관 밀집지역과 비슷한 기능의 공간으로 유추할 수 있다.

경주 월성 C지구 발굴현장에서 출토된 벼루의 다리 부분 조각들. 인근 지역에 비해 월등히 많은 양의 벼루가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이 지역에 관청 등 문서작성 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제공=문화재청경주 월성 C지구 발굴현장에서 출토된 벼루의 다리 부분 조각들. 인근 지역에 비해 월등히 많은 양의 벼루가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이 지역에 관청 등 문서작성 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제공=문화재청


이들 건물과 둘러싼 담장의 건축 시기에 대해서 심영섭 소장은 “인화문(도장무늬) 토기와 국화형 연화문 수막새 같은 유물이 다량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8세기 중반 이후에 14동의 건물이 왕궁 내부 시설로 축조된 듯하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집단 건물터가 확인된 곳은 총면적 20만7,000㎡의 경주 월성을 편의상 A~D로 나눈 구역 중 중심부인 C지구다. 이번 성과를 거둔 정밀발굴조사는 지난해 3월부터 1년간 진행됐다. 집단 건물터 발견 외에도 C지구 안에서는 신라 정치체제인 6부 중 하나인 ’본피부’를 뜻하는 ‘본(本)’, 태자의 궁궐을 뜻하는 ‘동궁(東宮)’ 등 명문이 새겨진 기와와 토기도 새롭게 출토됐다. 심 소장은 “현재까지 확보된 유물 분석자료에 의하면 월성은 주로 4세기에서 9세기까지 왕궁과 관련 시설이 들어섰으며 신라 멸망 이후 근대 이전까지는 월성 내에 거의 사람이 거주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신라의 궁성인 월성은 삼국사기 등에 의하면 서기 101년 파사왕(婆娑王) 때 쌓기 시작해 935년 신라가 멸망할 때까지 대대로 왕이 기거한 곳이다. 1914년 일제 강점기 때 일본 고고학자들이 처음 월성 발굴을 진행한 후 100년 만인 지난 2014년부터 천년 고도 경주의 역사정체성을 규명하고 대통령 공약 사항인 ‘경주 역사문화 창조도시 조성’ 이행 차원에서 국내 연구진의 본격 발굴이 시작됐다. 지난해 발굴 성과보고로 ‘천년의 속살’을 처음 드러낸 월성은 이날 일반에도 발굴현장을 개방했다. ‘천 년 궁성, 월성을 걷다’는 제목으로 진행된 이 행사에서 현지 주민과 관광객 등은 발굴조사를 체험하고 월성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겼다.

/경주=조상인기자 ccsi@sed.co.kr

항공사진으로 본 경주 월성지역의 모습. /사진제공=문화재청항공사진으로 본 경주 월성지역의 모습. /사진제공=문화재청


경주 월성 A지구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의 연화문 수막새 /사진제공=문화재청경주 월성 A지구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의 연화문 수막새 /사진제공=문화재청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