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만파식적] 안철수의 딜레마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전 공동대표가 혁신전당대회를 수용하라는 최후통첩을 한 후 7일부터 행적을 알리지 않은 채 고향인 부산으로 낙향해 잠행하고 있다. 주승용 최고위원까지 동조해 문 대표 퇴진을 요구하며 사퇴했으나 문 대표 등 친노 주류 측의 반응은 오히려 "나갈 테면 나가보라"는 식이다. 결국 안 전 대표의 탈당과 동조 탈당 등으로 이어지는 새정연의 분당사태가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안 전 대표는 최후통첩을 하며 "오직 낡은 정치를 바꿔 달라는 시대 흐름과 국민의 요구에만 충실할 것"이라며 친노 주류를 '낡은 진보'와 '기득권'이라고 까지 압박했다. 그의 트레이드마크인 '새 정치'를 내세워 당 지도체제를 바꿔야만 내년 총선뿐 아니라 2017년 대선서 정권 교체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분으로 내세웠다. 정치인으로서 그가 보여준 두 번의 큰 결정인 2011년 서울 시장, 2012년 대선 후보 양보 때와는 결기가 다르다.

그러나 안 전 대표 탈당으로 촉발될 정계개편은 그의 뜻과는 상반된 흐름으로 전개될 공산이 크다. 이번 내홍이 해묵은 새정연 내 주류·비주류 갈등의 연장선상에 있고 또 내년 총선의 공천경쟁과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결국 안 전 대표와 함께 탈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력 대부분이 당내 공천 경쟁에서 대거 물갈이가 예상되는 '낡은 세력'이라는 점이 아킬레스건이다. 지역적으로 호남권과 다선 의원이 주축인 동조 세력들을 '새 정치 세력'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문 대표 등 친노 주류 측은 이미 안 전 대표와 비주류 측의 탈당 움직임에 대해 "공천 불안하다고 탈당하는 것을 국민이 용납하지 않는다"는 식으로 단속에 나서고 있다. 그렇다고 주류 측 또한 야권 분열과 내년 총선 패배를 의미하는 안 전 대표의 탈당을 그대로 방관할 수 있는 처지도 아니다. '새정치'를 내세웠으나 현실적으로 '구 정치세력'과 함께할 수밖에 없는 안 전 대표의 딜레마는 결국 야권 전체의 딜레마인 셈이다. /온종훈 논설위원


관련기사



온종훈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