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3월 외환보유고 3,698달러… 5개월 만에 늘어

환율 상승으로 운용수익 ↑

자료:한국은행자료:한국은행




우리나라 외환보유고이 5개월 만에 늘었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3,698억4천만 달러로 전월(3,657억6천만 달러)보다 40억8,000만 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10월 말 3,696억 달러에서 11월 말 3,684억6천만 달러로 줄어든 이후 올해 2월까지 넉달 연속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미국 달러화 약세로 유로화, 파운드화 등 다른 통화로 표시된 외화자산의 환산액이 크게 증가했고 보유외환의 운용수익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서울 외국환중개회사의 고시환율을 보면 지난달 유로화는 미국 달러화 대비 3.9%, 파운드화는 3.7% 각각 절상됐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 인상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 달러화는 약세를 띠었다.

3월 외환보유액 가운데 유가증권(국채, 정부기관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 등)은 3,405억3천만 달러로 한달 사이 40억3,000만 달러 늘었다. 예치금은 203억 달러로 5,000만 달러 증가했고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은 23억8,000만 달러로 3천만 달러 늘었다. 반면 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 포지션은 18억4,000만 달러로 3,000만 달러 줄었다. 금 보유액은 47억9,000만 달러로 2월과 같았다.

올해 2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7위 수준이다. 중국이 3조2,023억 달러로 1개월 전보다 286억 달러 줄었지만 1위를 유지했다. 그다음으로 일본이 1조2,541억 달러로 2위를 기록했고 스위스(6,187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5,927억 달러), 대만(4,288억 달러), 러시아(3,805억 달러)가 뒤를 이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