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파나마 운하 확장개통에 아시아 LPG 고객 뺏길라... 콧대 낮춘 아람코

미국산 LPG 도입비용 낮아져 '절대강자' 지위 흔들

아람코 “중동산이 미국산보다 공급·가격 안정” 열띤 홍보





“중동산 액화석유가스(LPG)가 미국산보다 공급 안정성이나 가격 측면에서 우월합니다.”(아람코 관계자)


지난달 초 일본 도쿄에서 열린 LPG 국제세미나에 참석한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기업 아람코는 아시아 주요 LPG 수입사와 학계 등이 모인 자리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아람코 측 실무자들은 세미나 기간 중 일본과 한국 주요 업체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자사 LPG의 장점을 소개하는 데 힘썼다. 국내 에너지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급자가 가격결정권까지 손에 쥐고 있는 LPG 시장에서는 아람코 등이 확실한 ‘갑(甲)’의 위치였지만 콧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며 “업체들에 중동 LPG를 장점을 알리며 계속 써달라고 말하는 건 전례가 없던 일”이라고 말했다.

7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오는 6월 말 파나마운하 개통을 앞두고 그간 아시아 LPG 시장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자랑하던 아람코가 자세를 바꿔 영업에 힘을 쏟기 시작했다.


파나마 운하는 기존에는 컨테이너선 기준으로 4,500TEU(TEU는 6m 길이 컨테이너 1개)까지 지날 수 있었지만 확장되면 최대 1만4,000TEU 선박도 통과할 수 있다. 그동안 운하를 이용할 수 없었던 초대형 LPG운반선도 다닐 수 있게 돼 미국에서 한국까지 초대형 LPG운반선 뱃길이 50일에서 30일 정도로 대폭 단축된다.

관련기사



현재 한국이 수입하는 LPG의 70~80%는 사우디 등 중동산이다. 미국산이 중동산보다 10%가량 저렴하지만 중동산은 18~20일이면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운반비와 제품값 변화 등을 고려해 중동산을 주로 쓴다. 그러나 파나마운하 개통으로 미국산과 중동산의 운반일이 열흘 정도까지 좁혀지면 한국은 물론 아시아권에서 미국산 수요가 더 늘 것으로 예상된다.

아람코가 제시하는 LPG 가격이 중동산의 기준이 될 정도로 아람코는 LPG시장의 ‘절대 강자’였지만 지위 추락이 현실화하면서 직원들이 중동산 LPG 세일즈에 발벗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E1과 SK가스 등 국내LPG 업체는 아직 미국산 도입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다. 가격과 운송비용 외에도 제품 질이나 안정적인 공급 가능성 등 고려할 사항이 많아서다. 다만 앞으로 미국산 비중을 얼마나 늘리는지와 관계없이 구매 여건은 훨씬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PG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입처를 다변화할 수 있게 돼 기존 중동 공급처와 가격협상에 보다 유리한 자세로 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진혁기자 liberal@sedaily.com

임진혁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