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4·13총선]호남 벽 넘은 새누리…부산서 약진 더민주…지역독식 구도 깼다

적진 뒤흔든 당선자들

새누리 이정현 순천서 재선 유력

정운천은 전북 전주을서 당선권

김무성 대표 고향 부산선 野돌풍

김영춘·박재호·전재수 당선 점쳐

더민주 민홍철·김경수 김해에 깃발

지역주의의 벽을 넘어 특정 정당의 특정 지역 독식 구도를 깬 후보들이 눈에 띈다. 이들의 성과는 당리당략을 넘어 한국의 정당사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 왼쪽부터 이정현(전남 순천) 새누리당, 정운천(전북 전주을) 새누리당, 김영춘(부산진갑) 더불어민주당, 김경수(경남 김해을) 더불어민주당 후보.  /연합뉴스지역주의의 벽을 넘어 특정 정당의 특정 지역 독식 구도를 깬 후보들이 눈에 띈다. 이들의 성과는 당리당략을 넘어 한국의 정당사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 왼쪽부터 이정현(전남 순천) 새누리당, 정운천(전북 전주을) 새누리당, 김영춘(부산진갑) 더불어민주당, 김경수(경남 김해을) 더불어민주당 후보. /연합뉴스




이번 선거에서 특정 정당의 특정 지역 독식 구조가 깨진 것도 의미 있는 변화다. 깨지지 않을 것만 같은 지역주의의 벽에 도전한 후보들이 당선의 기쁨을 얻었다. 이는 한국 정치사에서도 그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가장 돋보이는 당선자는 대구 수성갑의 김부겸 더불어민주당 후보다. 새누리당의 심장부인 대구에 세번째 도전해 여권의 대선 주자 중 한 명인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를 꺾었다. 김부겸 후보는 이번 성공을 발판 삼아 대선까지 노릴 수 있는 대형 정치인 반열에 올라설 것으로 예상된다.

더민주에서 공천 배제돼 무소속으로 대구 북구을에 출마한 홍의락 후보도 야권 출신이 대구의 벽을 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홍 후보는 더민주에서 컷오프된 것이 전화위복이 돼 고향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전남 순천에서 재선에 성공한 이정현 후보는 야당 텃밭인 전남에 유일한 빨간색을 그렸다. 새누리당 최고위원이면서도 당내 공천 주도권 싸움을 멀리하고 일찌감치 지역에 올인한 데 따른 성과로 분석된다. 지역에서 이 후보의 진심을 받아들였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전북에서는 전주을의 정운천 후보가 새누리당 후보로는 유일하게 당선됐다. 정 후보는 이명박 정부의 초대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을 맡아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국면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2010년에는 한나라당 후보로 전북도지사에 출마해 낙선하기도 했다. 이번 선거에서는 전북 지역에 국민의당 바람이 강하게 부는 와중에서도 정 후보만은 당선 가능성이 점쳐졌고 결국 지역독식 구조를 깬 주인공이 됐다.

전통적 여권 강세 지역이자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고향인 부산에서는 더민주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19대 때는 조경태 의원만이 야당 후보로는 유일하게 당선됐지만 이번에는 김영춘(부산진갑), 박재호(남구을), 전재수(북구강서갑) 세 명의 당선이 유력하다. 김영춘 더민주 부산시당위원장 중심으로 오랜 시간 지역에 공을 들였고 부산 출신인 문재인 전 더민주 대표에 대한 애정을 가진 유권자들이 표를 몰아준 결과인 것으로 해석된다.

경남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인 김해에서 민홍철(김해갑), 김경수(김해을) 후보가 동반 당선됐다. 노 전 대통령의 후광이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기는 했지만 경남에서 지역의 벽을 넘은 점은 분명한 성과다.

노회찬 정의당 후보는 경남 창원성산에서 당선됐다. 노 후보의 당선은 지역구도를 깬 것뿐만 아니라 권영길 전 민주노동당 대표 이후 창원에 진보정치의 깃발을 다시 꽂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