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 추구 미래 사업들 고스란히 반영된 삼성 GSAT

“자율주행차에 들어가지 않아도 될 기술은 무엇인가?”

17일 실시한 삼성그룹의 올 상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 인·적성 검사인 삼성직무적성검사(GSAT)에 나온 문제다. 이에 대한 보기로 3D 카메라, 열 적외선 감지, 스마트 그리드, 레이더, GPS가 제시됐다. 이날 실시한 GSAT에서는 이 외에도 딥러닝과 자율주행차를 비롯한 인공지능(AI) 관련 질문이 다수 출제됐다. 앞으로 삼성이 추구하는 미래 사업들이 신입사원 채용 문제에도 고스란히 반영된 셈이다.


GSAT 본부 고사장인 서울 강남구 단대부고에서 시험을 본 삼성 채용 응시생들은 시험 구성과 방식도 예년과 달라지지 않았고 대체로 무난하다는 반응이었다. 고사장에서 만난 문씨(28)는 “문제가 지난번과 비슷한 수준이라 어렵게 느껴지지 않았다”며 “딥러닝, 중력파 등 과학 관련 문제가 많다고 느껴졌고 ISA의 개념 등 경제·경영 문제도 기억에 남는다”고 전했다. 이번에 GSAT를 두 번째로 응시한다는 이씨(25)도 “시중 문제집에서 볼 수 있는 수준으로 전반적으로 평이했던 거 같다”고 전했다. 다만 이번이 첫 시험이라는 한 응시생은 “전반적으로 어려웠는데 특히 추리와 시각적 사고 부분이 힘들었다”는 반응이었다.

관련기사



직무상식 영역에서는 인공지능(AI) 등 과학 문제가 많이 출제됐다. 컴퓨터가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을 하는 ‘딥러닝’의 의미를 제시하고 개념을 묻는 질문이나 AI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투자자문서비스인 ‘로보어드바이저’ 등 AI와 관련해 2∼3문제 출제됐다. 삼성전자의 제품을 구체적으로 묻는 문항은 이번에 나오지 않았지만 삼성이 주력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한 문제는 지난해 하반기에 이어 이번에도 출제됐다. 한국사·일본사·중국사 등 역사 문제도 많았다. 지난해에는 중국사를 묻는 문제가 많았지만 이번에는 우리나라 장군을 시대별로 정렬하라고 묻는 등 한국사 문제가 많았다. 다만 세부적인 내용보다는 각 왕조나 역사적 사건 등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형식의 상식적인 선에서 출제됐다.

이날 GSAT는 서울을 비롯해 부산과 대구, 대전, 광주 등 5개 지역 및 미국 LA 등 해외 2곳을 포함해 총 7개 지역에서 진행됐다.

응시생들은 이날 오전 8시 30분부터 140분간 언어논리·수리논리·추리·시각적 사고·직무상식 등 5개 영역의 총 160문항을 풀었다. 삼성 측은 GSAT의 고사장 수와 응시생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직무 적합성 평가가 추가되면서 GSAT 응시생 수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훨씬 줄어든 것으로 관측된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