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대북제재에 北 36년 만의 당대회 ‘외화내빈’되나

외빈 초청 외교 부진, 대규모 행사 준비 동향도 관찰 안돼

북한의 올해 초 핵실험 및 장거리미사일 발사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북한이 36년 만에 개최하는 노동당대회는 성과 없이 겉치레만 화려한 행사로 끝날 전망이 제기된다.


19일 대북 소식통은 북한의 당 대회 준비 동향과 관련해 “지난 2월 11~13일 김영철 등이 라오스와 같은 동남아 우방국을 방문했으나 현재까지 뚜렷한 당 대회 초청 외교 동향이 파악되고 있지 않다”며 “이는 다보스 포럼 참석이 무산되는 등 핵실험 이후 대북제재 국면에서 북한의 외교적 입지가 축소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대북 제재가 진행되고 있는 중에 우방국 인사들을 초청한다고 해서 성사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은 1970년대 중소 분쟁이 있었던 5차 당대회를 제외하고 지난 제6차 당대회까지 우방국 주요 인사들을 초청해 체제 선전에 활용해왔다.

관련기사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4월 15일 중앙보고대회와 부문별 기층조직 행사를 통해 사상단결 및 노력동원을 선동하고 있으나 당대회를 위한 대규모 행사 준비 동향은 특별히 관찰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대북제재의 영향으로) 대외무역과 외화벌이 여건이 악화하면서 외화수입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며 “김정은 통치자금 및 당대회 자금 조달에 차질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정은 체제 공고화라는 당대회의 개최 목적을 감안하면 북한은 당대회에 대해 “성공적으로 개최됐다”고 성과를 선전할 전망이다. 그러나 대북제재의 영향으로 경제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게 된다면 향후 재정 고갈, 행사에 동원된 주민들의 피로감 등이 체제 안정성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