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표본조작 선거 여론조사 맞는게 더 이상하지 않나

이번 20대 총선에서 혹시나 했던 불법 여론조사가 판을 친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4·13 총선을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 가운데 불법으로 적발된 건수가 모두 96건에 달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19대 총선 때의 29건에 비해 3.3배나 폭증한 것이다. 여론조사 시스템의 한계로 가뜩이나 정확도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이처럼 불법까지 횡행했으니 조사 결과가 맞는다는 것이 오히려 이상한 일이다.


이번 불법 여론조사 적발사례를 보면 도를 넘는 것이 한두 건이 아니다. 한 여론조사 업체는 인구 수 비율을 조정하고 전화번호를 중복 사용해 4위 후보를 2위로, 1위 후보를 4위로 바꿔놓았다. 20대의 조사 비율을 낮추고 60대를 높이는 방법으로 여론을 조작했다. 특정 사이트의 회원을 집중 조사대상으로 삼기도 했다. 심지어 부산에서 한 교수는 특정 예비후보를 위해 아예 여론조사를 실시하지 않고도 허위 결과를 언론사에 배포했다가 적발됐을 정도다.

관련기사



그렇지 않아도 여론조사를 못 믿겠다는 유권자들이 절대적으로 많은 게 우리 현실이다. 유선전화는 갈수록 줄어드는데 유선전화 위주로 여론조사가 이뤄지니 응답률이 점점 더 낮아지고 젊은 층의 참여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반면 50~60대는 과도하게 표본으로 뽑혀 보수적 응답률이 올라가게 된다. 이번 총선 여론조사에서도 휴대폰 샘플은 평균 4.2%에 그쳤다. 이러니 여론조사 결과가 왜곡되면서 실제 선거 결과와는 판이하게 나오는 것이다.

이런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는 것을 더 이상 그대로 놓아둘 수는 없다. 더구나 불법까지 판을 치고 있는 상황이다. 전면적인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 선거기간에만 ‘떴다방’처럼 늘어나는 여론조사 기관의 공신력을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 휴대폰 샘플 수 확대와 설문문항 표준화 등 조사 시스템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도 필요하다. 지금처럼 혼란만 초래하는 여론조사라면 굳이 할 이유가 없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