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직업계 고교생 확 늘린다

'맞춤형 교육활성화 계획' 발표

2022년까지 30% 수준 확대

고교 학급당 학생도 24명으로↓



학령인구 감소를 고교 교육여건 개선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오는 2022년까지 학급당 학생 수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인 24명으로 축소한다.

이와 함께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 비중을 30% 수준까지 확대한다.

교육부는 25일 시·도 부교육감회의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2018학년도부터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학생이 본격적으로 고교에 입학하는 동시에 개정교육과정이 적용된다는 점을 고려해 마련됐다. 또 2022년까지 2015년 대비 고등학교 학생 수가 3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학령인구 감소를 고교 교육여건 개선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추진된다.


교육부는 2022년까지 학급당 학생 수를 현재 30명에서 OECD 수준인 24명까지, 교사 1인당 학생 수도 16.6명에서 13.3명으로 줄일 계획이다. 학생 수가 줄면 자유학기제 성과가 확산하고 협력·탐구 중심 수업 실현이 가능해지는 등 교육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교육부는 보고 있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학교급·유형 등을 고려해 학급 및 학생 수를 조정하고 시도별, 학교급에 따라 학교별 교사 재배치도 추진한다.

관련기사



고교 직업교육 학생 비중 확대 및 내실화를 위해 직업계고 입학정원을 현 수준으로 유지해 2022년까지 직업계고 학생 비중을 30% 수준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직업계고 전환을 희망하는 일반고를 직업계로 전환하고 직업계고 학과 중 일부를 인력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분야 등과 관련된 학과로 개편하거나 학급 증설 등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또 농산어촌 지역의 직업계고 기숙사 설립을 지원하고 소규모 학교를 통폐합해 거점 특성화고로 육성한다.

학생 선발도 성적 중심에서 소질·적성 중심으로 바뀐다. 이를 위해 경북·충남·울산·전북·제주 등 비평준화 지역에서 시행되는 고입 선발고사를 폐지하도록 유도하고 비평준화 지역 일반고와 자율형 공립고 중 희망 학교 대상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전형을 확대한다. 또 특성화고 선발도 기존 내신성적 중심에서 소질·적성 중심으로 전환해 취업희망자 특별전형을 늘릴 계획이다.

이밖에 사회·경제, 직업·예술 분야 교과 중점학교와 위탁교육을 확대하고 교원수업 개선과 학생의 진로 맞춤형 자기주도학습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해 교수학습 지원사이트(T-Clear·가칭)도 구축한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중학교 자유학기제로 시작된 창의성·인성·문제해결능력 중심의 수업 변화가 고교까지 계속되도록 교육 여건 및 제도 개선을 지속할 것”이라며 “소질과 적성에 따라 직업계고에 진학하고자 하는 수요를 충족시켜 현장 적합성 있는 직업교육을 제공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