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2017학년도부터 대학가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프라임 사업은 산업계 인력수요 전망을 고려해 각 대학이 기존 인문·사회 계열 및 예체능 계열 정원을 줄이고 이공계 정원을 늘리는 사업이다. 취업·진로 중심 학과로 개편하는 ‘사회수요 선도대학(대형)’ 유형과 신기술·융합전공 등 미래 유망 산업 위주로 학과를 개편하는 ‘창조기반 선도대학(소형)’ 유형으로 구분해 선정했다.
연간 150억원 내외를 지원받는 ‘대형 유형’에는 건국대·숙명여대·한양대 등 수도권 학교를 비롯해 경운대·동의대·순천향대·영남대·원광대·인제대 등 모두 9개교(수도권 3, 비수도권 6)가 선정됐다.
연간 50억원을 받는 ‘소형 유형’으로는 수도권의 성신여대·이화여대를 비롯해 대경·강원권에서 경북대·대구한의대·한동대가, 호남·제주권에서 군산대·동신대·호남대, 동남권에서 동명대·신라대, 충청권에서 건양대·상명대(천안) 등 5개 권역별로 2∼3개교씩 모두 12개교(사립대 10, 국립대 2)가 선발됐다.
21개 대학의 정원 이동 규모는 총 5,351명이다. 이는 21개 대학 전체 입학정원(4만8,805명)의 약 11%에 해당하는 규모다. 전체적으로 인문사회계열에서만 약 2,500명의 정원이 줄어든 반면 공학계열에서는 4,429명이 늘어났다.
대학들은 주로 바이오나 융·복합, 미래형 자동차, 지능형 로봇, 미래 에너지 등 유망 산업 중심으로 학과를 개편했다. 이들 대학은 2015년 대비 2023년까지 취업률을 평균 약 7.7%포인트 높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한편 대학발 구조조정이 현실화되면서 대학가에서는 학내 구성원 간의 갈등이 정점을 찍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프라임 사업 신청을 앞두고 상당수 대학에서는 학과 구조조정과 정원 감축 계획안을 위한 학내 구성원 간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학생과 교수들의 반발과 학내 투쟁 등으로 홍역을 앓아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