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비윤리적 기업 OUT" 불매 운동 불붙었다

옥시 제습·표백제 매출 급감

마트 '빅3' 노조·약사회도 동참

오너리스크 네이처리퍼블릭

온라인서 "불매해야" 목소리

뿔난 소비자들의 역습이 시작됐다. 가습기 살균제 논란으로 사회의 공분을 일으킨 옥시는 강력한 불매 운동 여파로 매출이 급전직하했다. 대표의 원정도박 혐의와 변호사 폭행 혐의로 여론의 지탄을 받고 있는 네이처리퍼블릭도 온라인에서 불매 운동 조짐이 생기는 등 비윤리적인 기업에 대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3일 대형마트에 따르면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일까지 옥시의 제습제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3% 급감했다. 같은 기간 옥시 표백제 매출은 38% 줄었고 섬유유연제는 7% 감소했다. 지난달 대형마트들이 옥시 제품을 포함한 생활용품 판촉행사를 벌였는데도 매출이 감소한 이유는 소비자의 불매운동 영향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표백제와 제습제에서 옥시 매출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다 보니 해당 카테고리 매출이 동반 감소한 것 같다”며 “지금이 제일 많이 판매될 시기인데 여론 때문에 판촉행사를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온라인에서 네티즌들은 불매 운동을 위해 ‘옥시크린’과 ‘옥시크린 오투액션’, 제습제 ‘물먹는 하마’, 섬유유연제 ‘쉐리’, 세정제 ‘데톨’ 등 옥시의 제품 목록을 공개하고 이를 대체할만한 타사 상품 리스트를 공유하는 등 불매 운동을 독려하고 있다.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등 대형마트 ‘빅3’ 노조도 2일 ‘살인기업 옥시 제품 판매를 중단하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 마트 측을 압박하기 시작했으며 대한약사회 전국 16개 시·도지부장 협의회와 지역 시민사회단체에서도 잇따라 불매 운동을 선언하면서 불매 운동은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옥시 제품을 사지 않는다고 밝힌 주부 정지은(34세)씨는 “제품 신뢰가 떨어진 것도 떨어진 것이지만, 산모와 아이들이 사망에 이르는 피해를 내고도 발뺌을 하는 옥시의 모습에 넌더리가 난다”며 “이번 기회에 다시는 소비자를 함부로 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국내 5위의 화장품 브랜드숍 네이처리퍼블릭도 ‘오너 리스크’로 인해 불매 운동 조짐이 일고 있다. 정운호 네이처리퍼블릭 대표가 지난해 100억원대 해외 원정 도박 혐의로 구속된 데 이어 최근 변호사 폭행 혐의로 고소를 당하는 등 구설이 끊이지 않자 온라인상에서 오너의 윤리성에 대한 질타가 이어지면서 네이처리퍼블릭 제품을 불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오너 리스크로 상장 계획까지 한 차례 무산된 네이처리퍼블릭은 불매 운동 분위기까지 겹치면서 장외 주가가 떨어지는 등 수난을 겪고 있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