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공중전화도 발신정보 표시 시대

KT 모델들이 9일 서울 시내의 한 공중전화를 이용해 공중전화 발신정보 표시 서비스를 시연해보이고 있다. KT는 이날부터 공중전화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수신한 단말에 위치별 정보를 나타내는 서비스를 개시했다. 공중전화, 군부대, 학교 등 위치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발신자 유추가 가능하고, 장난전화나 범죄악용을 줄일 수 있다. /사진제공=KTKT 모델들이 9일 서울 시내의 한 공중전화를 이용해 공중전화 발신정보 표시 서비스를 시연해보이고 있다. KT는 이날부터 공중전화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수신한 단말에 위치별 정보를 나타내는 서비스를 개시했다. 공중전화, 군부대, 학교 등 위치 정보가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발신자 유추가 가능하고, 장난전화나 범죄악용을 줄일 수 있다. /사진제공=KT




KT는 공중전화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수신 단말에 위치 정보가 표시되는 공중전화 발신정보 표시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9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후후’ 애플리케이션(앱)이 설치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기반 스마트폰이나 KT ‘후후 스팸 알림’ 부가서비스에 가입된 아이폰으로 공중전화를 걸 때 수신 단말에 공중전화 위치별 발신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공중전화에서 발신되면 수신 단말 화면에 “공중전화입니다”라고 뜬다. 군부대와 학교 공중전화에서 걸려오는 전화는 각각 ‘군장병 전화입니다’, ‘ㅇㅇ학교 전화입니다’라고 표시된다.

관련기사



그동안 모르는 번호에 대한 거부감 및 ‘스팸전화’ 오인으로 공중전화에서 걸려오는 전화 수신율이 낮았다. 그러나 이번 서비스가 출시되면서 발신자 추정, 수신 여부 판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백승택 KT 마케팅부문 UC사업담당 상무는 “공중전화 발신정보 표시 서비스는 수신율 저하에 따른 불편을 해소하고, 장난전화나 범죄 악용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공중전화 이용자 편익 및 공익성 강화를 위해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