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우조선, LNG선 핵심 기술 독자 개발…척당 120억원씩 로열티 절감

대우조선해양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화물창 시스템의 독자 개발에 성공했다. 이를 통해 배 한 척당 지출하던 120억원 정도의 로열티 비용을 아낄 수 있게 됐다고 대우조선해양은 강조했다.

대우조선은 독자적인 LNG 화물창 시스템인 ‘DCS16’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과거 한국 조선업계는 LNG선에 들어가는 핵심 기술인 화물창 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지 못해 척당 수백억원씩 해외에 로열티를 지불하고 기술을 사용해왔다. 이에 한국가스공사 주도로 현대중공업·대우조선·삼성중공업 등이 함께 한국형 화물창 ‘KC-1’을 공동 개발했고 이어 대우조선의 독자적 화물창 시스템이 등장한 것이다.


대우조선은 DCS16의 성공적 개발로 향후 척당 120억원의 로열티 비용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CS16은 이미 국내·외 선급들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국제해사기구(IMO)의 최신 안전성 규정(IGC)도 충족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또 글로벌 에너지 기업인 셸이 자사 LNG 프로젝트에 DCS16을 적용하기 위한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이고 미국 해양경비대(USCG) 승인도 막바지에 이르면서 DCS16의 상용화 시기도 무르익고 있다.

관련기사



대우조선은 DCS16을 채택하는 선주·용선사에 대해 이전보다 강화한 품질보증·보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DCS16의 기술 개발을 주도한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은 “지난 20여동안 100척에 가까운 LNG선 건조를 통해 축적된 노하우와 자체 연구 성과를 접목해 개발한 DCS16은 기존 기술보다 품질과 안정성 측면에서 우위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