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울·경 "조선·해운업 살리자" 지원 총력전

부산시 '조선업 상황대책반' 운영

울산시 1,650억 긴급 추경 편성

경남도, 조선소 수주 지원 확대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9개 중·대형 조선소가 몰려 있는 동남권 지방자치단체가 구조조정으로 위기를 맞은 지역 조선·해운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동남권의 조선업 고용인력이 전국의 90%인 18만명에 이르고 부산지역 해운업 종사자도 4만6,000명에 달하는 상황에서 관련 지자체들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잇따라 대책을 내놓고 있다.

15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부산시는 먼저 업계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수출과 연구개발(R&D) 등을 통해 기업을 지원하는 ‘조선산업 상황 대책반’을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또 단기 대책으로 가스연료(LNG) 추진선 등 신시장 기반을 구축해 산업구조 고도화를 추진하고 고품질 선박·해양용 기자재의 육상용 전환기술 지원, 기자재 사업 다각화 지원 프로그램 개발 등의 장기 대책도 세웠다.


아울러 부산시는 해운업계 지원을 위해 해양수산청·부산항만공사·한국선급 등 관계기관과 ‘상황대책반’을 구성, 해운업 구조조정 추진 상황을 살피고 컨테이너 물동량 이탈 방지 대책을 마련한다.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과 마케팅도 적극 지원하는 한편 퇴직(예정)자에 대한 신속한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실직자 긴급 생계 지원에도 나선다.

관련기사



울산시는 1,650억원 규모로 긴급 추경을 편성해 오는 7월부터 일자리 창출과 조선·해양산업 지원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또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위치한 동구 지역에 하반기 지급 예정인 93억원의 조정교부금과 특별조정교부금 48억원을 전액 교부한다. 현대중공업이 조성 중인 이화일반산업단지에 대한 울산시 부담금 90억원도 조기에 지급하기로 했다.

경상남도도 최근 조선·해양산업을 살리기 위해 16개 추진과제를 선정하고 2,965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수주 지원 차원에서 해외 마케팅 지원과 함께 무역사절단, 해외 바이어 초청을 확대하고 지역 내 연안여객선과 관공선 발주 시 도내 조선소가 우선 수주하도록 도울 방침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위기는 기업 노사와 지자체·지역민 등이 힘을 합치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며 “조선·해양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가용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강구하는 등 조선·해운업계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경남=황상욱기자·울산=장지승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