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친박, 전국위 조직적 불참 비난에 "비박 책임"

친박 "비박 언어 조심해야…나중에 뒷감당 어떻게 하려고"

정진석 비대위 체제에…친박 "사퇴해야"vs비박 "유지해야"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를 비롯한 비대위원 내정자들이 지난 16일 오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상견례에서 손을 잡고 각오를 다지고 있다./연합뉴스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를 비롯한 비대위원 내정자들이 지난 16일 오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상견례에서 손을 잡고 각오를 다지고 있다./연합뉴스




새누리당 친박계 초·재선 의원들이 지난 16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당 비상대책위원과 혁신위원장의 인선 재검토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새누리당 친박계 초·재선 의원들이 지난 16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당 비상대책위원과 혁신위원장의 인선 재검토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있다./연합뉴스


친박계가 새누리당 상임전국위원회를 무산시키기 위해 조직적으로 집단 불참했다는 당 안팎의 비난에 대해 “비박계가 많이 참석하지 않은 탓”이라고 맞섰다. 총선 참패 이후 이어지는 당내 혼란에 대해 ‘친박 책임론’이 불거지자 차단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또 친박계와 비박계는 ‘정진석 비대위원회 체제’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친박계 핵심 인사인 홍문종 의원은 18일 한 라디오에 출연해 “언론에서 자꾸 친박이 상임전국위에 불참해 열리지 못했다고 하는데 이른바 비박이라는 분들도 많이 참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비박계가) 나중에 뒷감당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지 모르겠다”면서 “그분들(비박계)이 당을 사랑하고 우리가 앞으로 같이 일해야 한다면 언어에 조심해야 한다”며 비박계의 성토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앞서 지난 17일 열리기로 예정됐던 상임전국위가 의결 정족수 미달로 무산되자 비박계는 친박계를 향해 원색적인 비난을 쏟아냈다. 정두언 의원은 “이건 정당이 아니라 패거리 집단이다. 동네 양아치들도 이렇게는 안 한다”고 쏘아붙였다. 김용태 의원은 “새누리당의 정당 민주주의가 죽었다. 그들과 싸워나가겠다”며 친박계를 향해 경고 메시지를 날렸다.

관련기사



친박계 이장우 의원은 김무성계 인사를 겨냥했다. 이 의원은 한 라디오에서 “총선 참패 책임이 가장 큰 김무성 전 대표의 측근(홍문표·김영우 의원)이 비대위에 포함된 것은 잘못된 인선”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내에 총질하고 당을 흔들고 또 같은 집권 여당인데 정부를 흔드는 일에 강성 발언을 하며 당을 혼란스럽게 한 인사들이 앞장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친박계와 비박계는 정진석 비대위 체제에 대한 날 선 공방도 이어갔다. 친박계 김태흠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정 원내대표가) 사과를 하고 백지에서 시작하든지 본인이 이런 상황이 너무 어려워서 못하겠다면 스스로 사퇴하든지 두 가지 방안이 있다”며 정 원내대표 사퇴론을 들고 나왔다.

같은 프로그램에 출연한 비박계 김성태 의원은 “비대위 구성이나 혁신위 구성안이 어디하고 상의하고 그분들(친박계)의 재가를 받지 않았다고 원내대표에서 하차시킨다면 뭐하러 원내대표를 뽑느냐”며 “정진석 비대위 인선과 김용태 혁신위원장 체제는 그대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