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국책은행 자본확충TF, 19일 2차 회의

일각선 "큰 그림 다 그렸다"…합의안 발표 관측도

국책은행 자본확충을 위한 관계기관 협의체가 19일 2차 태스크포스(TF)회의를 개최한다. 자본확충 TF회의가 열리는 것은 지난 4일 이후 보름 만이다. 그동안 자본확충 방식 등을 놓고 정부와 한국은행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회의 일정을 잡지 못하고 실무선에서만 논의가 진행됐다. 연기될 것이라는 관측과 달리 2차 회의를 개최하기로 하면서 정부와 한은의 이견이 좁혀진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이날 자본확충펀드와 공기업 주식 현물출자의 투트랙으로 자본확충을 하는 TF 합의안이 발표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TF는 이달 4일 첫 회의에서 국책은행 자본확충을 위해 재정(기재부)과 통화(한은)의 ‘폴리시믹스(Policy Mix)’를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자본확충 방식에서 이견을 보이면서 논의가 진전되지 못했다. 특히 한은이 ‘손실 최소화’ 원칙을 내세우며 대출방식으로만 자금출원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함에 따라 진통을 겪어왔다. 자본확충에 국민의 혈세가 투입되는 만큼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고통 분담과 국책은행의 자구노력 등도 선행돼야 하는데 큰 진전이 없었다.


다시 TF회의가 개최되는 것은 그동안의 논의가 진전됐음을 뜻한다. 현대상선이 막바지 용선료 협상을 벌이는 만큼 타이밍을 늦추기 어렵다는 현실도 작용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큰 그림은 다 그려졌다”며 “(시나리오에 따른 재원투입 규모 등) 마지막 결정만 남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관련기사



이날 회의에서는 자본확충 방식을 최종 확정하고 구체적인 재원의 투입 시기와 규모 등은 추후 논의하면서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한은이 기업은행에 대출해 10조원 규모의 자본확충펀드를 설립하고 정부가 보유한 한전·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기업 주식을 현물출자하는 방식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은의 손실 최소화를 위한 보증방식도 지난 2009년처럼 신용보증기금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신보의 보증재원을 놓고 아직 정부와 한은이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정부의 또 다른 관계자는 “자본확충 규모 확정과 함께 고용안정 방안 등도 마련돼야 한다”며 “앞으로도 회의는 몇 차례 더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정곤기자 김상훈기자 mckids@sedaily.com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