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오늘의 자동차]현대·기아차 이끌 21세기 장영실 발굴 프로젝트 펼쳐

권문식 현대차 부회장(앞줄 왼쪽 세 번째)과 인벤시아드 대상을 수상한 조형욱 책임연구원(앞줄 왼쪽 두 번째) 비롯한 수상자들이 연구소 직원들과 함께 남양연구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권문식 현대차 부회장(앞줄 왼쪽 세 번째)과 인벤시아드 대상을 수상한 조형욱 책임연구원(앞줄 왼쪽 두 번째) 비롯한 수상자들이 연구소 직원들과 함께 남양연구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차


현대·기아차가 미래자동차 기술을 선도할 아이디어 발굴과 연구원들의 기술 발명의욕 고취를 위해 제7회 ‘인벤시아드’를 실시했다.

현대·기아차는 남양연구소에서 R&D 연구원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창의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발명의 날 행사의 일환으로 사내 발명 아이디어 경진대회인 ‘인벤시아드(Invensiad)’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인벤시아드(Invensiad)는 발명을 뜻하는 인벤션(Invention)과 올림픽을 뜻하는 올림피아드(Olympiad)의 합성어로, 연구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동시에 선도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고 있다.

이번 인벤시아드에는 연료전지, 변속기, 헤드램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총 2,000여 건의 신기술 관련 아이디어가 출품돼 경합을 벌였다.

취합된 제안서는 독창성, 기존기술 성능향상 여부, 발명의 완성도 등의 평가기준으로 검토되어 총 21건의 발명이 선정되었다. 이 중에는 올해 대회부터 해외연구소 연구원들의 발명 활동을 독려하기 위해 새롭게 신설한 해외연구소 경쟁부문의 발명도 1건 포함됐다.

이날 최종결선에 오른 ▲자립형(Self-standing) 탄성체 프레임 연교전지 가스켓 ▲작동 및 장탈착 편의 카고스크린 ▲ 패시브 셀렉트 타입 기어 액츄에이터 ▲ 타이어-휠 너트 체결 토크 자동 검사 장치 ▲엔진 진동 기반 환경변화와 엔진 가속감에 어울리는 사운드 구현 지능형 제어기술 ▲편각 프리즘 실드 적용 바이펑션 헤드램프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발표가 진행됐으며 최종평가를 거쳐 최종 대상 1건, 최우수상 2건, 우수상 3건을 선정했다.


대상은 패시브 셀릭트 기어 액츄에이터 아이디어를 낸 조형욱 책임연구원이 수상했으며 정병헌 책임연구원과 윤연심 연구원이 최우수상, 고광민 책임연구원, 이동철 책임연구원, 홍진영 사원이 우수상을 수상했다.

관련기사



대상 수상자에게는 총 100만원의 상금과 제네바 국제발명전시회에 참가할 기회가 주어지며 최우수상 수상자는 각 100만원, 우수상 수상자는 각 70만원이 수여됐다.

해외연구소 부문은 인도연구소의 밤쉬(Vamshi) 연구원이 후석 실내 시트를 변형시켜 유아용 카시트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통합 차일드 시트’가 수상했다.

이번 인벤시아드에는 북미, 유럽, 중국, 일본 등 세계 전역에 위치한 현대·기아차 연구소 연구원들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제출했으며 현대·기아차는 발명활동 독려를 통한 R&D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세계 각지 연구소들의 대회 참여를 지속 독려할 계획이다.

현대·기아차는 올해 출품된 아이디어 가운데 적용 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거쳐 특허출원과 함께 가능한 경우 양산차에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연구원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는 현대·기아차의 신기술 및 원천 기술 확보 등 기술 특허 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있다. 대회가 처음 시작된 2010년부터 지금까지 총 1만2,500여건의 아이디어가 제출되었고, 이 중 1,760여 건의 특허가 출원 및 등록돼 현대·기아차의 차량 상품성 확보에도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발명 아이디어 경진대회 ‘인벤시아드’ 외에도 연구원들의 발명에 대한 의지를 고취하기 위해 연구원들의 특허 출원 및 등록, 특허 활용도에 따른 실적보상 등 직무발명 보상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다.

박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