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이세돌, 프로기사회 탈퇴 선언...제2의 안현수?

기사회의 공제 방식 등 불합리한 운영에 불만

이세돌 9단이 한국프로기사회 탈퇴를 선언해 바둑계 파장이 예상된다. /연합뉴스이세돌 9단이 한국프로기사회 탈퇴를 선언해 바둑계 파장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이세돌 9단이 한국프로기사회 탈퇴 의사를 밝혀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이세돌 9단은 지난 17일 KB국민은행 바둑리그 개막식 현장에서 양건 한국프로기사회장에게 탈퇴서를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세돌 9단의 형인 이상훈 9단도 함께 탈퇴서를 제출했다.


이와 관련, 프로기사회는 19일 오전 대의원 회의를 열어 관련 안건을 논의한다. 프로기사회는 320명의 모든 프로 바둑 기사가 가입하는 단체다. 프로기사회에서 탈퇴하겠다는 기사가 나온 것은 최초다.

이세돌 9단은 기사회의 천편일률적인 공제에 불만을 느껴 탈퇴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회는 회원의 대국 관련 수입 중 3~5%를 공제한다. 한국기원 주최 대회의 상금 등 수입에서는 5%, 세계대회 등 외국 주최 대회 수입에서는 3%를 뗀다. 즉, 상금을 많이 획득하는 기사가 기사회 적립금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이다.


이세돌 9단은 국내기전뿐 아니라 각종 세계대회에서 활동하며 상금을 올려 왔다. 공제가 지나치게 일률적인 점 등이 불합리하다는 것이 그의 판단이다.

관련기사



친목단체인 프로기사회 정관에는 기사회에서 탈퇴하면 한국기원이 주최하는 일정에 참가할 수 없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이세돌 9단은 대국 활동은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사회에서 탈퇴한 후 한국기원 주최 대국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면 소송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관련 법률 전문가의 조언도 이미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공지능 알파고와 ‘세기의 대국’을 펼쳐 전 세계의 이목을 끈 이세돌 9단의 탈퇴 선언은 바둑계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이전에도 돌출 행보로 바둑계의 풍운아로 불려 왔다. 승단대회가 ‘실력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판단해 16살이던 1999년 승단대회를 통해 3단으로 승단한 이후 대회에 참여하지 않았다. 결국 한국기원은 2003년 1월 일반기전을 승단대회로 대체하고 주요대회 우승시 승단을 시켜주는 새로운 제도를 도입했다.

이후 이세돌 9단은 2009년 5월 프로기사회가 한국바둑리그 불참을 선언한 자신에게 징계 의사를 비추자 7월 한국기원에 ‘휴직계’를 제출하기도 했다. 6개월 뒤인 2010년 1월 한국기원과 협의하고 복귀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바둑계에서 ‘제2의 안현수 사태’가 발생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한국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수였던 안현수는 파벌 등 쇼트트랙계의 불합리한 운영에 불만을 품다가 지난 2011년 러시아로 귀화했다.

/김진희인턴기자 jh6945@sedaily.com

김진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