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유병진 명지대 총장 "대학 자율성 보장해줘야 구조개혁 성공한다"

<에듀리더를 만나다>

정부 재정지원 평가·취업률 등 단기성과 맞추기에 급급

획일적 잣대로 재단 말아야 대학 스스로 몸집줄이기 가능

'명지 아시아 리더십 프로그램'으로 글로벌 역량 키우고

인문학적 소양·실무능력 겸비한 융복합 인재 양성 힘쓸것

유병진 명지대 총장이 서울 서대문구 명지대학교 총장실에서 서울경제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송은석기자유병진 명지대 총장이 서울 서대문구 명지대학교 총장실에서 서울경제와 인터뷰를 갖고 있다./송은석기자


“대학 구조개혁 성공의 전제조건은 대학의 자율성 보장입니다.”

19일 서울 서대문구 명지대 총장실에서 만난 유병진(사진) 명지대 총장(사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은 대학의 자율성 보장을 성공적인 대학 구조개혁의 전제조건으로 꼽았다.


그는 “지금 대학사회는 대학 구조개혁 평가를 비롯한 정부의 주요 재정지원 평가사업에 모든 신경을 기울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면서 “대학이 자율성을 상실한 채 교육과 연구라는 기본 임무를 도외시하고 획일화된 잣대에 맞추기 위해 단기성과에만 급급한 풍토가 고착됐다”고 지적했다. 교육과 연구 등에서 대학마다 갖고 있는 특장점이 있음에도 이를 발전시키기보다는 취업률, 창업지원 등 정부에서 제시하는 획일적인 평가지표 달성에만 급급한 게 대학이 처한 현실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최근 열린 사립대학총장협의회 정기 총회에서는 사립대 평가주체를 정부가 아닌 제3의 기구인 사총협으로 전환, 사립대학에 대한 등록금과 장학금 규제 완화, 사립대에 대한 기존 사업비 지원을 경상비 지원으로 전환 등이 주요 의견으로 제시된 바 있다.

이와 동시에 대학의 뼈저린 자기반성도 필요하다는 게 유 총장의 생각이다.


그는 “이미 수년 전부터 대학 구조개혁의 필요성이 대학가의 화두로 떠올랐지만 상당수 대학은 아무런 조치 없이 정부의 지원과 안정적으로 확보된 정원 수에 안주해왔다”며 “대부분 대학은 최근 트렌드로 부상한 해외 유학생 유치, 산학협력, 평생교육 등만 맹목적으로 따른 것을 반성하고 이제라도 몸집 줄이기에 자발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더 큰 위기에 봉착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아울러 그는 “서울 명문대와 지방 사립대가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의 질에 차이가 있는 게 엄연한 현실인데 등록금이 비슷한 것이 시장논리로 봤을 때 말이 되느냐”며 “정부는 획일적인 등록금 규제 등을 과감하게 풀어 대학이 스스로 구조개혁에 나서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실제로 그가 총장으로 있는 명지대는 다른 대학보다 한발 앞서 정원 구조조정을 시행한 바 있다. 지난 2015년에는 전체 입학정원 중 93명, 2016년에는 145명 줄어 2년 사이에 전체 입학정원 대비 8%가 넘는 인원이 감소했다.

이와 함께 유 총장은 대학들이 현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대책으로 국제화를 강조했다. 특히 명지대는 국제화 부문에서 남다른 성과를 거뒀다고 그는 자평했다.

외국인 학생들과 어울리며 다양한 문화를 접해 글로벌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도입한 ‘명지 아시아 리더십 프로그램(MALP)’과 40여개국으로 늘어난 교환학생 프로그램, 해외 인턴십 등이 대표적인 성과로 꼽힌다.

마지막으로 그는 대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는 융복합을 제시했다. 실제로 명지대는 지난해 인문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실무능력이 뛰어난 인재 양성을 목표로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와 융합소프트웨어학부를 산하에 둔 ICT융합대학을 신설했다.

유 총장은 “ICT융합대학 학생들은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교양교육과 함께 집중적인 실무교육을 받아 졸업 시 공학학사 학위를 받는 게 특징”이라며 “아울러 향후 인턴십 프로그램, 대학원 과정과 연계된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을 결합해 인턴십, 졸업작품, 취업으로 이어지는 선순환형 교육·프로젝트·취업 연계 시스템을 선보일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