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로밍 기록으로 감염병 국내유입 막는다

민관 '스마트 검역체계'

9월 KT부터 시범 가동

휴대전화 로밍서비스 이용정보를 활용해 해외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막는 민관합동 ‘스마트 검역체계’가 오는 9월부터 가동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질병관리본부, KT와 함께 이 같이 ‘로밍 빅데이터를 활용한 해외 유입 감염병 차단 서비스’를 2016년 빅데이터 선도시범사업으로 선정해 관련 스마트검역망을 구축해 운영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정부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등 다른 이동통신사의 로밍 정보와 스마트검역체계를 연동하는 작업도 연말까지 마치기로 했다.

관련기사



이 검역망은 감염질환 위험국가에서 휴대전화로 로밍통화를 한 이용자의 기록을 질병관리본부에 통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질병관리본부는 통보를 받은 뒤 해당 로밍이용자가 국내 입국시 문자메시지로 주의사항을 전달한다. 또 해당 이용자가 의사로부터 처방을 받게 될 경우 질병관리본부는 담당의사에게 환자의 기존 여행경로를 알려주는 데에 이 빅데이터를 활용한다.

방역당국은 기존에도 여행자의 여권정보 및 항공사의 항공여행기록(PNR) 등을 기초로 감염병 위험지역 방문 여부를 파악해 입국시 주의사항을 휴대전화 문자로 전달하는 등의 활동을 벌여왔다. 그러나 여권 갱신기간이 일반적우로 워낙 길고, 해당 여권이나 PNR에 적힌 전화번호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 같은 예방책에는 사각지대가 존재해왔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서비스업체들과 손잡고 기존 체계의 맹점을 보완하기로 했다는 게 미래부측 설명이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