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SDI, 6월부터 중국 우시공장서 태양광 핵심소재 생산…中거점 확보

PV페이스트 월 40톤 규모로 생산 시작…동남아·인도 시장까지 공략

삼성SDI가 24~26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태양광 박람회 2016’에 참가해 태양광 핵심 소재인 PV페이스트 신제품을 선보인다. 또한 6월부터는 PV페이스트를 생산하는 중국 우시 공장을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사진제공=삼성SDI삼성SDI가 24~26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태양광 박람회 2016’에 참가해 태양광 핵심 소재인 PV페이스트 신제품을 선보인다. 또한 6월부터는 PV페이스트를 생산하는 중국 우시 공장을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사진제공=삼성SDI




삼성SDI가 태양광 핵심 소재인 PV페이스트의 중국 우시 공장 생산라인을 다음 달부터 본격 가동한다고 24일 밝혔다.


삼성SDI 우시 공장은 지난해 9월 편광필름 생산라인과 페이스트 생산라인을 함께 착공했으며 이 가운데 페이스트 라인이 최근 완공돼 가동에 들어가는 것이다. 우선 월 40톤 규모로 가동을 시작해 향후 월 100톤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전 세계 태양광 모듈 업체가 70% 이상 몰려 있는 중국 현지에서 고객 수요에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면서 삼성SDI의 중국 영업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SDI는 또 중국 우시공장을 거점으로 최근 새로운 태양광 시장으로 발돋움 하고 있는 태국·말레이시아·인도 등 동남아시아까지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PV 페이스트는 태양광 셀 겉면에 얇고 가는 바둑판의 줄무늬처럼 발라진 선들을 말한다.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태양광 셀이 받은 태양에너지를 얼마나 많이 전기로 바꿀 수 있느냐가 페이스트의 성능에 달려 있어 태양전지의 핵심소재로 꼽힌다.

관련기사



삼성SDI가 24~26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태양광 박람회 2016’에 참가해 태양광 핵심 소재인 PV페이스트 신제품을 선보인다. 또한 6월부터는 PV페이스트를 생산하는 중국 우시 공장을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사진제공=삼성SDI삼성SDI가 24~26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태양광 박람회 2016’에 참가해 태양광 핵심 소재인 PV페이스트 신제품을 선보인다. 또한 6월부터는 PV페이스트를 생산하는 중국 우시 공장을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사진제공=삼성SDI


이와 함께 삼성SDI는 24일 세계 최대 태양광 시장인 중국에서 열린 ‘국제 태양광 박람회(SNEC PV Power Expo 2016)’에 참가해 태양광 페이스트 신제품 ‘8800시리즈’를 공개했다. 24~26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태양광 박람회는 태양전지 제조장비, 제조기술, 재료 등 관련 산업의 신제품 및 신기술을 선보이는 태양전지 관련 세계 최대 전시회로 올해 10회째를 맞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는 한화큐셀, 트리나솔라, 잉리솔라 등 세계 주요 메이저 태양광 업체들이 부스를 마련했다.

삼성SDI가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한 8800시리즈는 태양광을 전기로 바꾸는 전환효율을 높인 제품이다. 현재 개발된 태양전지의 전환효율이 18~20% 수준으로 업계에서는 전환효율을 조금이라도 더 높이기 위해 기술개발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SDI 전자재료사업부장 송창룡 부사장은 “우시 공장 가동과 고효율 태양전지에 적용되는 신제품 출시로 시장 대응력을 높였다”며 “이를 통해 세계 태양광 시장에서 명실상부한 시장 리더로 도약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삼성SDI는 세계 시장을 선도하던 PDP 전극소재 기술을 기반으로 2010년부터 태양전지용 페이스트 사업에 진출해 사업 6년 만인 지난해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삼성SDI는 올해 중국 생산 거점과 신제품으로 세계 시장에서도 1위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