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4조5,000억 쏟아붓고도, 법정관리 가는 STX조선

채권단, 오늘 긴급회의

채권단이 25일 긴급회의를 소집해 STX조선해양의 법정관리행을 논의한다. STX조선이 지난 2013년 4조5,000억원을 지원받고도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채권단은 법정관리행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관련기사 4면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24일 “25일 오전 긴급회의를 열어 법정관리 등을 포함한 향후 구조조정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며 “이 자리는 지난해 12월 지원 이후 올해 첫 회의이자 지원에 따른 결과 등을 논의하는 자리로 일부 채권은행은 이미 법정관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정부 당국에서는 4월부터 STX조선의 법정관리 가능성이 점쳐졌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STX조선에 대해 “하반기 중 대외여건을 감안해 경영정상화 또는 회생절차(법정관리) 전환 등 손실 최소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히는 등 법정관리를 공론화하기도 했다. 채권단도 지난달 STX조선의 재무와 경영 상태에 대한 재점검에 나선 바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2013년의 경우 지역경제와 고용 등을 고려해 자율협약을 선택했지만 최근 삼일회계법인의 실사 결과 신규 수주가 없는 상황에서 자율협약으로는 더 이상 지속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STX조선은 2013년 4월 자율협약에 돌입한 후 1조8,800억원가량의 대출액을 출자전환하는 등 4조5,000억원의 자금이 투입됐지만 완전자본잠식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채권단이 결국 STX조선의 법정관리행을 택할 경우 수조원의 자금만 낭비하고 시간만 끌었던 셈이어서 책임론이 거세게 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STX조선의 채권단은 산은을 비롯해 수출입은행·NH농협은행·무역보험공사 등이다. 산은에는 선수금환급보증(RG) 등을 포함해 1조9,000억원, 수은 2조3,000억원, 농협은행 7,700억원 등의 여신이 있다.

김보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