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디젤차 유해성 논란에 뒤돌아 웃는 LPG업계

[핫이슈] 경유차 파동이 가져온 두 모습

"LPG 차량 규제 풀어

보급확대 기회로 삼자"

디젤차량의 유해성 논란이 반가운 곳도 있다. 바로 액화석유가스(LPG) 업계다. 그동안 LPG차량은 저렴한 연료 가격과 오염이 적다는 장점에도 정부의 각종 규제에 부딪혀 시장을 확대하지 못하고 매년 역성장해왔다. 하지만 디젤차량의 유해성이 확인된 만큼 이번 기회에 LPG차량 규제를 풀어 디젤차 확산을 막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25일 대한LPG협회에 따르면 LPG차량은 지난 2010년대 들어 매년 도로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다. 2010년 245만5,696대에 달했던 LPG 등록차량은 이후 감소세로 돌아서 지난해 227만5,661대로 20만대 가까이 줄었다.


이는 정부가 택시, 장애인·국가유공자, 하이브리드·경차·RV 등 일부 계층 및 차종만 LPG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법으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내년 1월부터는 일반인도 등록한 지 5년이 넘은 중고차에 한해 LPG차량을 소유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됐지만 이 정도로는 시장확대가 어렵다는 게 관련업계의 관측이다.

관련기사



LPG 업계의 한 관계자는 “LPG 사용제한을 풀면 경유 값을 인상하지 않고도 경유 수요를 줄일 수 있어 사회적 논란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LPG차량 보급을 권장하는 국가도 늘어나는 추세다. 프랑스와 호주 등 주요 선진국들은 보조금을 지급하며 LPG차량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LPG 사용제한을 풀 경우 세수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게 LPG 업계의 설명이다. 1ℓ당 LPG에 붙는 세금은 약 300원으로 경유(약 620원)의 절반 수준이다. 하지만 LPG 연비 또한 경유의 절반 수준이어서 같은 거리를 이동할 때 소비자가 부담하는 세금의 합계는 비슷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