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채권단 수혈로 연명하던 STX조선해양 결국 법정관리 신청

과거 한때 세계 ‘빅3’ 조선소로 꼽혔던 STX조선해양이 결국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세계적인 금융위기로 조선업계가 불황에 빠진 가운데 무리하게 저가 수주에 나선 탓이다.


서울중앙지법은 STX조선해양이 회생 절차 개시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에 따라 법원은 앞으로 법정관리에 돌입할지, 청산절차를 밟을 지 결정할 예정이다. 회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돼 법정관리 개시가 허락될 경우 법원은 채무조정을 통해 STX조선이 갚을 수 있는 채무를 낮춰주고 회생 계획안에 따라 제대로 이행하는지를 감시하며 경영을 관리한다. 하지만 법원이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면 STX조선해양은 청산 절차에 돌입한다. 금융권 내에서는 현재 수주절벽 상황이라 STX조선해양이 사실상 청산 수순을 밟을 수 있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실제로 STX조선해양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지난 25일 채권단 실무자회의에서 “자율협약을 지속할 경제적 명분이나 실익이 없다”며 자율협약을 종료하고 법원 주도의 회생 절차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STX조선해양은 2001년 STX가 대동조선을 인수해 사명을 바꿔 새롭게 출범한 곳이다. 출범 5년 만에 건조량과 매출액이 각각 5배 늘면서 단숨에 세계 5위의 조선소로 도약했다. 이후 2008년에는 수주잔량으로 세계 4위, 연간 수주실적으로는 세계 3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하지만 세계적인 금융위기 여파로 업황이 장기 부진에 빠진 가운데 위기 탈출을 위해 무리하게 저가 수주에 나서다 재무 여건이 악화해 지난 2013년 4월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에 들어갔다. 이후 채권단은 4조원 이상의 자금을 쏟아부었지만, STX조선은 지난해에도 1,820억원의 손실을 내는 등 회생의 기미를 보이지 못했다.

관련기사



/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