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위안부재단 설립준비위원장 "日 출연금, 배상금은 아냐"

김태현 재단설립준비위원장

"10억엔, 상처 치유 위한 자금"

정부 '배상 성격'과 배치 논란

김태현 일본군 위안부 재단설립준비위원회 위원장이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첫 회의를 연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김태현 일본군 위안부 재단설립준비위원회 위원장이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첫 회의를 연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설립준비위원회의 김태현 위원장은 31일 향후 재단 설립 후 일본 측이 출연하기로 한 10억엔의 성격에 대해 “치유금이지 배상금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준비위 1차 회의 후 서울 종로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일본 정부가 책임을 인정했고 피해자의 상처를 치유하는 차원에서 10억엔을 출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배상금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는 일본 측이 사과와 책임 인정을 했기 때문에 10억엔이 사실상 배상의 성격이 있다는 우리 정부 측의 설명과 배치돼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배상을 포기했다고 보면 되느냐는 질문에는 “배상을 포기했느냐 아니냐보다 초점은 일본 정부가 진정으로 책임을 인정하는 것”이라면서 “피해자 할머니들의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 돼야 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김 위원장은 이후 회견 도중 외교부 당국자와 이야기를 나눈 뒤 “배상금이 아니라는 부분에 대해 여러 의견이 있을 수도 있다는 여지는 남기겠다”며 앞선 발언을 정정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또 재단이 비영리 민간재단으로 추진되는 것과 관련해 “정부는 한계가 있다. 민간법인으로 시작하는 것”이라면서 “민간인들에게 펀드레이징(모금)을 해 지원사업을 좀 더 구상할 수 있다”며 향후 모금을 통한 추가 재원조달 가능성도 열어뒀다.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문제에 대해서는 “10억엔 출연과는 관계없다”며 정부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앞서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준비위 1차 회의에서는 재단 설립 취지문을 채택하고 김 위원장을 공식 선출했다. 이 자리에서는 지원사업 문제 등 향후 재단 설립 준비사항에 대한 논의도 오갔다. 김 위원장과 유명환 전 외교통상부 장관 등 설립준비위원 10명이 참석했다.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