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슈퍼컴퓨터 가상실험으로 R&D 효율 높인다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의 연구개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슈퍼컴퓨팅 기반 가상실험이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31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과 슈퍼컴퓨팅 기반 계산과학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계산과학이란 슈퍼컴퓨터 계산을 활용해 활용해 기존 학문의 문제를 해결하는 분야를 일컫는다.

이들 기관은 ▦계산과학 활용 R&D 선진화 및 효율화를 위한 공동연구 및 기술협력 ▦계산과학 데이터 공유·플랫폼 개발·교육 및 기술지원 등 계산과학 활용 활성화 공동 추진 등에 나선다.


KISTI의 슈퍼컴퓨팅 및 계산과학 인프라를 중심으로 KISTI와 각 기관은 공동 R&D 시범과제를 수행한다.

관련기사



먼저 KISTI-에너지연은 전지에 쓰이는 리튬박막을 대체할 수 있는 고에너지밀도 소재의 핵심 요소 및 원리를 계산과학으로 규명할 예정이다.

KISTI-원자력연은 원자로의 안정성 향상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고정밀 열수력 실험에 계산과학을 접목해 비용 및 실험 횟수를 절감할 계획이다.

KISTI-화학연은 태양전지 효율 증진에 필요한 구조 설계를 가상실험으로 진행하며 신소재 개발 기술 확보를 노린다.

한선화 KISTI 원장은 “슈퍼컴퓨터가 R&D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공동연구들을 기점으로 KISTI가 융합연구의 핵심 파트너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덕=구본혁기자 nbgkoo@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