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박 대통령 귀국하자 여야 3당 협상 재개키로…법정 시한 지키기 어려울 듯

박 대통령 귀국하자 여야 3당 협상 재개키로…법정 시한 지키기 어려울 듯

-野 새누리당 입장 일부 수용, 국회의장 자율투표 사전합의 한 데 대해 입장 표명키로


-박 대통령 귀국도 협상 재개 한 요인

-하지만 법정시한 지키기 어려울듯


여야 3당이 손을 놓고 있던 원 구성 협상을 6일 재개하기로 합의했다.

관련기사



김도읍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5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어 “6일 3당 수석이 점심식사를 함께함을 계기로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파행을 겪은 원 구성 협상이 재개된 것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야합에 대해 유감 표명을 해달라”는 새누리당의 요구를 일부 수용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지난달 31일 새누리당을 제외한 채 회동을 통해 국회의장 선출과 관련, “자율 투표로 결정하기로 했다”고 합의한 것에 대해 “협상 파트너인 새누리당을 빼고 합의한 것은 야합”이라며 협상 불가 원칙을 고수한 바 있다. 두 야당은 6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로 했다.

아프리카 3개국과 프랑스 해외 순방을 마친 박근혜 대통령의 귀국도 협상 재개 요인으로 지목된다. 김 수석부대표는 “여당과 청와대는 소통할 수밖에 없다”고 밝히면서도 야당이 주장하는 ‘청와대 배후설’에는 불쾌감을 드러낸 바 있다. 두 야당은 박 대통령 해외 순방 중 원 구성 협상이 중단되자 “박 대통령이 원 구성 협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하지만 박 대통령 귀국 직후 원 구성 협상이 즉시 재개됨에 따라 야당의 주장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야당 관계자는 “새누리당이 야권이 사과하면 협상에 나선다고 말하면서도 협상 재개를 제안한 시점은 박 대통령이 귀국한 6일이었다”며 “사과를 일찍 했어도 어차피 협상은 박 대통령 귀국 후 열리게 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6일 원 구성 협상이 재개되지만 법정 시한을 준수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의장 선출은 7일, 상임위원회 구성은 9일이 법정 시한이지만 아직 국회의장을 어느 당이 가져갈 것인가에 대한 합의조차 이루지 못했다. 이에 대해 더민주는 “6일 밤을 새워서라도 협상을 끝내자”고 주장하고 있지만 새누리당은 “이는 야당의 요구를 새누리당이 그대로 수용하라는 것과 같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아울러 정무위원회와 기획재정위원회 등 알짜 상임위원회를 놓고서는 국민의당까지 가세해 3파전이 벌어지고 있어 법정 시한 내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원 구성 협상이 20대 국회 협치의 첫 시험대인 만큼 극적으로 타결될 가능성도 남아 있다. 박완주 더민주 원내수석부대표는 “새누리당 원내수석이 전권을 받고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면 협상 속도가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