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원순 서울시장 공식사과…“메피아 척결하고, 지하철 안전 업무 직영화”

서울시가 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 발생한 스크린도어 사고와 관련, 재발 방지를 위해 지하철 안전 관련 업무를 서울메트로에서 직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또 이른바 ‘메피아(메트로+관피아)’로 불리는 외주업체의 서울메트로 출신 인사들에 대한 전관 채용 관행을 없애고 직영화를 통해 기존에 채용된 메피아들도 척결하겠다고 약속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7일 서울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의역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해 고인과 유가족, 시민들에게 공식 사과했다. 그는 “시민의 꿈을 지키고 이뤄가는 시장이 되겠다는 제 초심을 지키지 못했다”며 “고인과 유가족, 시민 여러분께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이번 사고의 경위와 원인을 밝히기 위해 민관 합동 진상규명위원회를 구성해 7월까지 진상규명을 완료하고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다. 조사 결과 공개에 맞춰 재발 방지를 위한 실천 사항을 담은 ‘지하철 안전 종합대책’도 함께 발표한다. 종합대책에는 지난달 28일 사고 직후 발표했던 스크린도어 업무 담당 자회사 설립 방안 대신 스크린도어를 비롯한 시민 생명·안전과 직결된 업무를 직영으로 전환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앞으로 서울메트로와 계약을 체결하거나 기존에 계약 중인 사업에 대해서도 서울메트로 퇴직자 채용을 의무화하는 계약서상 특혜 조항을 모두 삭제하기로 했다.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는 메피아와 관련해 박 시장은 “메피아의 구조와 역사에 대해 충분히 몰랐다”고 잘못을 시인하면서도 “메피아가 중앙정부 정책을 따라 경영 합리화 차원에서 정부와 지방정부 공기업 인원을 감축하는 정책 속에서 탄생했다”며 정부에도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박 시장은 이미 채용돼 근무 중인 메피아에 대해서도 “스크린도어 관련 업무를 자회사가 하던지 직영하게 될 경우 체제가 전환되기 때문에 (서울시 차원의) 조치를 할 수 있다”며 사실상 이들 모두를 일선에서 물러나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공사 퇴직자와 신규 채용자 간 불합리한 서울메트로의 차등 보수 체계도 기술력과 경력 등에 근거한 객관적·합리적 기준을 적용해 바꾸기로 했다.

한편 서울메트로와 구의역 사고로 숨진 김씨 유가족은 이날 서울메트로가 김씨의 장례절차에 들어가는 모든 비용을 부담하고 유가족에 위로금을 지급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보상안에 합의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