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대한민국창업대상-국무총리상]죠스푸드

'외식업은 신뢰' 경영철학...최상의 재료·아이디어로 성공신화

죠스떡볶이·바르다김선생

2개 브랜드로 업계 돌풍

모든 매장 맛·품질 표준화

당일 생산·소비 시스템도

죠스떡볶이 논현본점 매장./사진제공=죠스푸드죠스떡볶이 논현본점 매장./사진제공=죠스푸드


떡볶이 전문점 ‘죠스떡볶이’를 운영하는 죠스푸드는 분식점 ‘바르다 김선생’ 등 2개 브랜드로 국내 외식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킨 대표적인 토종 브랜드다. 죠스떡볶이는 지난 2007년 9월 서울 안암동 고려대 인근 23.1㎡(약 7평)짜리 점포에서 시작해 어느덧 가맹점 수 500개를 내다보는 업계 선두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나상균 죠스푸드 대표나상균 죠스푸드 대표





죠스떡볶이의 성공비결은 단연 맛이다. 대표적인 메뉴 ‘매운 떡볶이’는 부숴 먹는 ‘공갈만두’와 튀김 어묵·메추리알 등을 넣어 기존 떡볶이와 차별성을 뒀다. 특히 립스틱이 지워지지 않도록 3.5㎝ 크기로 떡볶이 떡을 만들고 매운맛을 강조해 20·30대 여성층 입맛을 사로잡았다. 여기에 수제튀김, 진짜찰순대, 부산어묵 등 깔끔하고 질 좋은 메뉴들도 다양하다.

특히 수제 튀김의 경우 CJ제일제당과 공동연구를 통해 전용 현미유를 개발, 맛과 건강을 모두 잡았다. 현미유는 쌀겨와 배아의 영양성분은 물론 필수 지방산인 불포화지방산을 다량 함유한 웰빙 오일이다. 튀김 가루도 오뚜기와 공동 연구로 개발한 죠스 전용 튀김 가루를 사용해 튀김의 맛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어육 함량이 최대 84% 이상인 프리미엄 어묵 ‘부산어묵’과 유부주머니·수제어묵고로케 등도 인기가 높다.

2013년 7월 죠스푸드에서 선보인 프리미엄 김밥 브랜드 ‘바르다 김선생’도 마찬가지다. 뛰어난 맛은 기본으로 먹거리 신뢰감까지 한몫하면서 가맹점 수가 190개를 넘어섰다. 브랜드 이름 그대로 ‘바른’ 식재료 만을 엄선해 깐깐한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은 것이다. 식품첨가물 덩어리로 지적받는 단무지의 경우 색소, 사카린, 빙초산, 방부제, MSG 등 5가지 첨가물이 없는 단무지를 풀무원으로부터 공급받아 쓴다. 참기름은 울산 우가포라는 바닷가 동네에서 50여 년 동안 대를 이어 온 방앗간에서 만든 수제 참기름을 고수한다. 김 역시 남해에서 공수해 온다. 그 결과 사업 1년여 만인 2014년 김밥 프랜차이즈 업체 중 최초로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입점했다. 김밥이 단순한 간식거리에서 프리미엄 먹거리로 변화했다는 점을 입증한 셈이다.


죠스푸드는 과감한 연구개발(R&D) 투자와 체계적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전국 어느 매장에서나 표준화된 맛과 품질을 제공한다. ‘죠스는 항상 즐겁습니다’라는 슬로건처럼 변화와 도전을 즐기는 젊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추구하며 젊은 층을 겨냥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매장과 동일하게 꾸민 교육센터에서 60시간의 가맹점주 교육을 실행하고 초보자도 쉽게 조리 가능한 시스템으로 표준화된 맛을 구현하며 당일 생산· 당일 소비를 원칙으로 전국 일일배송 시스템을 구축했다. ‘외식사업은 신뢰가 전부’라는 나상균 죠스푸드 대표의 경영철학 아래 최상의 재료와 아이디어를 동원해 외식 시장에서 새로운 성공신화를 쓴 셈이다.

관련기사



특히 죠스떡볶이는 지난해 말 배달서비스를 새롭게 론칭하고 1인세트·편의점용 컵떡볶이 등을 출시했다. 최근에는 업체 차원에서 케이블TV 방송채널 론칭까지 발표하는 등 끊임없는 서비스 개선과 진화로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가맹점주, 소외계층과의 ‘상생’도 죠스푸드가 신경쓰는 부분이다. 가맹점·협력업체·본사가 연계한 전사자원관리(ERP) 시스템을 구축하고 본사 임원과 대고객 관련 부서가 참석하는 고객만족경영위원회를 분기마다 열어 정책 수립과 사회봉사, 기부 등에 대한 실행 결의를 다진다.

최근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강화하고자 봉사활동을 주 목적으로 하는 ‘죠스드림팀’도 발족했다. 환경적인 이유로 죠스푸드를 접하기 힘든 곳이나 단체 등을 찾아가 메뉴를 직접 조리해 제공하고 소외된 이웃과 함께 하며 다양한 봉사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다.

죠스푸드는 국내 시장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프랜차이즈 산업의 본고장인 미국을 첫 진출국으로 정해 해외 사업도 준비하고 있다. 나 대표는 “국내를 넘어 해외시장에도 진출해 식재료도 제공하고 외식사업도 영위하는 종합식품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