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産銀-대우조선 유착 드러나나

檢 압수수색…비리 방조 조사

대우조선 경영 부실 묵인 정황

대우조선해양의 수조원대 분식회계 등 경영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대주주인 산업은행의 연루 정황을 포착했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은 지난 8일 실시한 대우조선해양과 산업은행 압수수색을 통해 산업은행의 경영 비리 방조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압수수색에서 산업은행이 2012년 1월 발간한 경영컨설팅보고서와 감사원의 2015년 산업은행 감사보고서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우조선해양은 2011년에 400억원 가까운 손실을 보며 오만 선상호텔 사업을 진행했다. 당시 회사의 경영 부실에 대한 우려가 나왔지만 산업은행은 보고서에서 ‘회사 내 감사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고 지적했을 뿐 별다른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감사원 보고서는 조 단위의 영업적자를 낸 해양플랜트 사업 등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산업은행을 지적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의 부실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산업은행의 관리·감독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검찰은 이 배경에 산업은행과 대우조선해양의 유착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집중 수사하고 있다.

관련기사



검찰은 전날 산업은행 간부 출신인 전 대우조선해양 최고재무책임자(CFO) 2명의 주거지를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시킨 데 이어 산업은행 주요 임원 일부의 집무실도 살펴본 것으로 알려졌다. 법조계에서는 유착 의혹에 대해 부실경영을 은폐하려 했던 전 경영진과 실적관리가 필요했던 산업은행의 이해관계가 일치된 탓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검찰은 일단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압수물 분석을 마친 후 구체적인 혐의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현 단계에서 산업은행을 겨냥했다고 보는 것은 다소 앞서 나간 얘기”라며 “대우조선해양의 비리를 중심으로 산업은행의 관련 자료를 살펴보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