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은 어떻게든 살리려고 하는데 작은 중소기업은 누가 살려 주겠습니까.”
최근 A은행은 대출이 나간 중소기업의 건전성을 다시 따져보느라 분주하다. 특히 조선·해운업 등 현재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대기업과 거래 중인 하청업체를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1차 하청업체는 각 사업장별로 신용등급을 재조정했다. 하지만 구조조정의 여파가 2차·3차 하청업체에까지 미치자 아예 업종별로 구분하고 있다. 조선·해운 대기업과 집중적으로 거래하는 중소기업들을 따로 묶어 관리하는 것이다. A은행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대기업은 살리려고 하지만 중소기업에는 관심이 없어 보인다”며 “은행이 자체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이 대출을 진행한 중소기업들의 건전성을 면밀히 검토 중이다. 조선·해운업 등 대기업 리스크가 커지면서 대기업 대출을 줄이고 중소기업 대출을 확대해왔는데 구조조정 추이에 따라 중소기업 대출이 일시에 부실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4월 말까지 국내 은행의 대기업 대출은 4,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중소기업 대출은 같은 기간 14조4,000억원 늘었다. 지난 2014년 한 해 동안 증가한 35조4,000억원의 절반 가까이가 4개월 만에 증가한 것이다. 시중은행의 한 고위관계자는 “조선 3사와 STX조선 등 큰 것에 가려 보이지 않을 뿐 중소기업 리스크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중소기업 리스크에 대한 은행의 우려가 점점 현실화하는 모습이다. 조선업이 지역경제를 떠받치는 창원과 울산에서 회생 혹은 파산신청을 하는 기업의 수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창원지법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 4월까지 파산신청을 한 기업은 총 145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약 45% 늘었다. 도산기업 중에는 STX조선을 비롯한 중소형 조선사들의 협력업체가 다수 포함됐다. 또 현대중공업이 있는 울산 역시 같은 기간 52곳의 기업이 법정관리 또는 파산을 신청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조선업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수많은 협력·하청업체가 밀접하게 연결된 산업”이라며 “조선업이 경제 기반인 울산·통영·거제 등의 지역은 거의 경기가 죽은 상태”라고 말했다.
은행들은 대출 가산금리를 올리는 등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여전히 증가하는 추세다. 그나마 리스크가 적은 개인사업자 대출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의 경우 올 4월 중소기업 대출 잔액이 77조8,346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약 2조7,000억원 늘었다. 우리은행은 같은 기간 6,000억원 이상 늘어난 65조9,835억원을, 신한은행은 2조원 가까이 늘어난 69조2,327억억원을 기록했다. 하나은행 역시 60조671억원에서 60조7,288억원으로 소폭 늘었으며 농협은행과 기업은행도 각각 1조1,825억원, 4조4,734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 리스크 담당자는 “구조조정의 후폭풍은 이제부터 본격화될 수 있어 기업대출 부문에서는 사실상 자영업자대출이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중소기업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는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