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내 박쥐에서 메르스·사스 유사 바이러스 첫 검출

사람에게 감염되고 전파될 가능성은 낮아

국내에 사는 박쥐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와 사스 바이러스와 비슷한 바이러스가 검출됐다./출처=구글국내에 사는 박쥐에서 메르스 바이러스와 사스 바이러스와 비슷한 바이러스가 검출됐다./출처=구글


국내에 서식하는 박쥐의 분변에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와 유사한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인체에 감염되는 바이러스가 박쥐에서 검출됐다는 보고는 중국, 대만, 유럽 등지에서 나온 적이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러스감염제어연구센터 김혜권·정대균 박사, 고려대 약학대학 송대섭 교수, 한국동굴생물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지난해 7∼12월 사이 국내 11개 박쥐 서식지에서 49개의 박쥐 분변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이번에 채취한 박쥐의 분변에서는 소화기 또는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 등이 검출됐다. 연구팀이 유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바이러스는 사스(급성호흡기증후군),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와 각각 89%, 77%의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문제는 박쥐에서 검출된 바이러스가 사람 또는 가축으로 종간 전파가 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해외 사례를 보면 방글라데시에서 과일을 주로 먹는 과일박쥐의 니파바이러스가 야자열매 수액에 오염돼 사람으로 전파된 사례가 보고된 적이 있다. 연구팀은 동물의 모든 바이러스가 사람에 감염되는 게 아니고,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야외 환경에서 쉽게 불활성화되기 때문에 박쥐의 분변 내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생명공학연구원 김혜권 박사는 “국내 박쥐에서 검출된 사스, 메르스 유사 코로나바이러스는 아미노산 서열 분석 결과 사람에게 감염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다만, 유전적으로 유사한 만큼 해당 그룹의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나은인턴기자 babyeun@sedaily.com

김나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