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빅데이터로 도로함몰 예측·관리한다

관리 시스템 개발…도로함몰 개연성 분석해 탐사, 관찰, 안전등급으로 분류

서울시가 다음 달부터 빅데이터로 도로함몰이 우려되는 지역을 예측해 동공을 예방, 관리한다.

서울시는 그동안 발견한 동공 정보와 도로함몰·침하 정보, 조치 결과 등 데이터를 지도화한 도로함몰 관리 시스템을 개발해 7월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고 20일 밝혔다. 이 시스템에서는 지하매설물 21종의 노후 정보와 굴착복구 정보 등도 볼 수 있다. 서울시는 도로함몰 가능성을 분석해 개연성이 높은 순으로 탐사등급(빨강), 관찰등급(노랑), 안전등급(초록)으로 분류해 관리한다.


탐사등급은 주기적으로 도로 아래 동공 탐사가 필요한 구간이다. 관찰등급은 앞으로 도로함몰이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이다. 서울시는 주요 간선도로 중 탐사등급은 3년 주기로 탐사할 계획이다.

굴착복구 공사를 할 때는 시스템에서 도로함몰 등급과 지하매설물 등 정보를 확인해 반영해야 한다. 도로함몰이 발생할 원인부터 차단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이미 도로함몰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택시·버스기사들을 활용한 신고시스템을 2014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택시 431대와 간선버스 125대 기사가 도로파손을 발견하면 차량 내 위치전송 버튼을 누르는 방식이다. 해당지역 긴급 복구반이 출동해 보수한다. 지난해 3월 일본 도쿄시에서 견학한 데 이어 경기도도 올해부터 벤치마킹해 운영한다.


지난 2년간 도로함몰 28건 등 도로파손 1만8,435건의 신고가 들어왔다.

관련기사



서울시는 2014년 말부터는 일본 동공탐사기술을 도입해 주요 간선도로에 도로함몰 우려가 있는 구간을 탐사했다.

올해 5월까지 간선도로 87㎞를 탐사해 동공 288개를 찾아냈다. 서울시는 2018년 탐사기술 국산화를 목표로 세종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함께 개발하고 있다.

서울시는 동공을 발견하면 함몰될 가능성을 따져 A∼C 급으로 분류했다. 지금까지 A급 164개는 즉시 복구했고 B급 93개는 6개월 이내 손을 봤다. 당장 함몰 우려가 없는 C급 31개는 연구 등을 위해 일정기간 관찰하고 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