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EU 비상 체제 돌입...브렉시트시 보복 조치도

EU기관 지도자들 24일 비상회동 예정...ECB도 긴급성명 준비

이탈 결정시 EU와 새 협상 난관 예고...."도미노효과 저지 위한 본보기"

유럽연합(EU)이 영국의 EU 탈퇴가 현실화할 경우에 대비한 비상 체제에 돌입했다. 오는 23일 영국 국민투표 결과 ‘브렉시트’가 확정될 경우 EU 지도부와 유럽중앙은행(ECB) 등은 즉각 긴급 회동 및 성명 발표를 통해 사태의 확산과 시장 혼란 저지에 나설 계획이다. EU는 또 브렉시트가 회원국들의 ‘도미노’ 이탈을 부추기지 못하도록 영국이 EU를 떠날 경우 ‘본보기’ 삼아 보복를 내릴 방침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EU가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경제가 취약한 국가들로 EU 이탈 움직임이 확산되는 것을 막고 금융시장을 조기에 진정시키기 위한 준비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19일(현지시간) 전했다. ECB는 국민투표 결과 영국의 EU 탈퇴가 결정되면 24일 오전 긴급 성명을 발표할 계획이며, EU 기관 지도자들도 이날 오전 투표 결과를 논의하기 위해 긴급 회동을 갖고 공동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다. 도날트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 EU 순환 의장국인 네덜란드의 마르크 뤼터 총리, 마틴 슐츠 유럽의회 의장은 국민투표 결과가 브렉시트 찬성인 경우 영국을 제외한 EU 국가들의 공고한 결속을, 브리메인(영국의 EU 잔류)인 경우 더욱 굳건해진 유럽 통합을 성명으로 명시할 예정이라고 WSJ는 전했다. 영국이 EU를 탈퇴할 경우 다음 주 초반의 시장 혼란에 대비해 주말 사이 EU 정상들 간 회동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EU의 한 고위 관계자는 WSJ에 “가장 우려되는 것은 시장에서 (브렉시트의) 도미노 효과 우려가 촉발되는 것”이라며 “폴란드나 체코 등이 EU 회원국으로 남을 것이라는 확신을 (시장에) 줘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영국이 EU를 탈퇴하면 EU가 회원국들의 추가 이탈을 막는 차원에서라도 영국과의 새로운 협상에 엄격한 잣대를 적용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영국 국민들이 선택의 ‘값’을 치러야 한다는 것이다.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이날 독일 북부 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영국의 선택을 존중하지만, 혼란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일을 해야 한다는 것 또한 분명하다”며 “영국이 떠난다면 EU와 이전처럼 사업을 계속할 수는 없다. 그렇지 않으면 많은 국가들이 (영국과) 같은 생각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영국 내 브렉시트 찬성 진영이 EU 탈퇴 이후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EU와 새로운 교역 조건을 맺게 될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달리, EU는 영국을 다른 회원국들의 도미노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본보기로 삼기 위한 보복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투스크 상임의장도 영국이 EU와 새 협상을 타결하는 데 최대 7년이 걸릴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