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석탄소비량, OECD 국가 중 한국은 11% 증가 '이유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지난 5년 간 석탄 소비량이 12% 이상 감소한 반면 한국에서는 11% 이상 늘어 이목이 집중됐다.

20일 글로벌 에너지기업 BP가 최근 발표한 세계 에너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OECD 회원국의 석탄 소비량은 2010년보다 12.2% 감소한 9억7920만t으로 확인됐다. 1982년 이후 33년 만에 처음으로 10억t 아래로 떨어진 수치.


반면 한국의 석탄 소비량은 2010년 7590만t에서 지난해 8450만t으로 5년 새 11.2% 증가한 사실이 확인됐다.

중국도 같은 기간 10.2% 증가했으며, 주요 석탄 소비국인 인도는 39.0%나 증가했다. 네덜란드(40.8%)와 스페인(109.2%)은 증가폭이 컸지만, 이들 나라는 상대적으로 소비량이 적은 국가로 확인됐다.


선진국에서는 독일과 일본이 각각 1.6%, 3.2% 늘었지만 상대적으로 증가폭은 크지 않았다.

관련기사



이에 반해 미국의 석탄 소비량은 같은 기간 24.5% 급감한 수치를 보였다. 캐나다도 21.6% 줄어 들었다. 유럽 국가 중에서는 핀란드(-44.8%), 영국(-24.3%), 프랑스(-24.2%), 체코(-15.2%), 스웨덴(-15.1%) 등이 감소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 세계 석탄 소비량은 1년 전과 비교하면 1.8% 줄어들어 역대 최대 감소 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미국은 전년보다 12.7% 감소했으며, 지난해 세계 소비량의 50%를 차지한 중국에서도 소비량이 1.5% 줄어 들었다.

한국의 지난해 석탄 소비량은 전년보다 0.2% 줄었다. 세계 시장에서 한국의 소비 점유율은 2.2%로 확인됐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