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2인가구 서울 절반 육박…주거형태 자가→월세 전환



서울 가구의 절반 가까이가 1~2인 가구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2인 가구 증가로 가구 간 고립이 심화하고 주거형태도 자가에서 월세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21일 발표한 ‘2016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가구 가운데 1인 가구가 24.6%, 2인 가구가 24%를 차지해 이들을 합치면 절반에 육박했다.

가구 형태별로는 부부처럼 한 세대로 이뤄진 ‘1세대 가구’가 41.1%로 가장 많았고 부부와 자녀, 부부와 부모 등 2개 세대로 구성된 ‘2세대 가구’는 33.0%였다.


1인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젊은 층이 많이 사는 관악구로 40.9%에 달했다. 종로구 32.7%, 중구 30.8%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1~2인 가구 증가로 가구 간 고립도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몸이 아플 때 보살펴줄 수 있는 사람이 있느냐’는 질문에 다인 가구는 82.6%가 있다고 답했지만 1인 가구는 61.9%로 응답 비율이 낮아졌다. 갑자기 돈이 필요할 때 빌려줄 사람이 있다는 비율도 다인 가구 62.4%에 비해 1인 가구는 49.9%로 수치가 떨어졌다.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이야기를 나눌 사람이 있는 비율 역시 다인 가구는 75.1%였지만 1인 가구는 62.9%로 나타나 10%포인트 넘게 차이가 났다.

주거형태는 지난 10년간 자가 비중은 3.5%포인트 감소한 반면 월세 비중은 5.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1~2인 가구 비중이 높은 30대의 월세 거주 비율은 41.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