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강남 재건축 과열의 그늘] “미분양 선제적 관리 필요” … 국토연의 경고





국토연구원이 주택 인허가 물량 등을 고려해볼 때 미분양 물량 증가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21일 국토연구원은 ‘2016년 주택 인허가 물량 전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올해 인허가 물량이 59만~63만가구 정도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의 78% 수준이지만 여러 요인을 감안한 예상치(추세)보다는 많은 것이어서 미분양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실제로 추세보다 많이 늘어난 77만가구가 인허가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인허가 물량이 추세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지난 1~4월 인허가 물량을 보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수도권은 18.3%, 지방은 45% 늘었다. 지방의 미분양 증가 위험이 수도권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박천규 부동산시장 연구센터장은 “주택공급 프로세스의 시작인 주택 인허가가 지난해보다는 줄지만 추세보다는 많아 주택의 미분양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미분양 물량의) 모니터링과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