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르포] 세계 최다 휴대폰 전시된 '여주 폰 박물관'

전시된 휴대폰 유물만 3,300여점

30년 관장의 고집이 박물관 만들어

'꿈'이루게 해준 가족에게 감사해

도시문화박물관, 성문화박물관, 전쟁박물관 등 박물관의 종류는 끝이 없다. 최근에는 부엉이 박물관이나 자물쇠 박물관 등 색다른 유물과 추억을 전시하는 박물관도 곳곳에서 생기고 있다. 하지만 현대 산업의 산물을 전시하는 박물관은 그리 많지 않다.

이런 가운데 세계에서 유일하게, 세계 최다 휴대폰을 한 자리에 모은 폰 박물관이 문을 열어 화제다. 경기도 여주시 연양동에 자리를 잡은 여주 시립 폰 박물관이 바로 그곳. ‘벽돌폰’으로 불린 초기 휴대폰 모델부터 인공지능으로 움직이는 최근의 스마트폰까지 휴대폰 역사를 고스란히 담은 ‘그곳’을 서울경제 썸이 직접 다녀왔다.


▲ 여강 변에 고즈넉하게 자리 잡은 ‘폰 박물관’

여주터미널에서 차로 15분을 달려 도착한 여강 변에 빨간 페인트와 흰 벽돌로 만들어진 이색적인 건물 한 채가 눈길을 사로 잡는다. 거대한 휴대폰 3대가 전면을 장식한 이 곳은 지난 4월 26일 문을 연 ‘여주 시립 폰 박물관’이다.

폰 박물관 입구에 설치돼 있는 휴대폰들의 거대 모형이다. ‘벽돌폰’으로 불렸던 휴대폰 초기 모델부터 최근의 ‘아이폰 3GS’까지 찾는 이의 시선을 한 번에 끌 수 있게 만들어졌다./사진=주현정인턴기자폰 박물관 입구에 설치돼 있는 휴대폰들의 거대 모형이다. ‘벽돌폰’으로 불렸던 휴대폰 초기 모델부터 최근의 ‘아이폰 3GS’까지 찾는 이의 시선을 한 번에 끌 수 있게 만들어졌다./사진=주현정인턴기자


폰 박물관의 탄생은 이병철 관장이 자신의 집 한 켠을 개조해 전시를 시작한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초 지난 2008년 점동면 당진리에 문을 연 사립박물관이었으나 이 관장이 모든 유물을 시에 기증하기로 결정한 후 지난 4월부터 이곳에 둥지를 틀게 됐다. 평생 모아온 휴대폰을 소정의 관람료만 받고 전시해 온 것이 폰 박물관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이 관장은 “사설 박물관을 계속 운영해오다 관리의 어려움을 느끼던 와중에 여주시 측에서 시립 박물관으로 탈바꿈하면 안되겠냐는 제안을 해왔다”며 “혼자 박물관을 운영하는 것보다 더 많은 사람이 휴대폰에 관심을 가지고 볼 수 있을 것 같아 시의 제안을 수락해 지금의 박물관이 완성된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 관장은 시에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휴대폰을 기증하려고 했을 때는 많이 망설였다고 회고했다. 자신의 손수 키운 ‘자식’과 같은 휴대폰들을 떠나보내는 것 같아 가슴 아팠던 것. 그러나 더 큰 미래를 위해 시의 제안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그는 “사설 박물관을 운영하는 것은 생각보다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한다”며 “전시하고 있는 휴대폰을 위해서라도 잘한 결정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초기 ‘벽돌폰’부터 현재 스마트폰까지 ‘총 망라된’ 유일한 박물관

폰 박물관은 총 4개의 주제관으로 구성됐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오른쪽으로 보이는 ‘역사관’은 통신의 시발점인 모스 전신부터 유선전화, 무선호출기(삐삐) 등이 전시돼 수백년에 이르는 휴대폰의 역사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 0세대 휴대폰부터 현대 스마트폰에 이르는 휴대폰의 역사를 한 곳에 모아놓은 이곳에서 이 관장이 가장 애착을 가지는 구역은 세계 최초 기록을 가진 휴대폰만 따로 모아놓은 곳이다. 이 관장은 “박물관에 전시된 휴대폰 중 제조사로부터 기증받은 것은 100여점도 되지 않는다”며 “특히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은 휴대폰들은 워낙 그 수가 적어 구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모토로라의 ‘스타텍’을 따라잡기위해 삼성전자가 출시했던 ‘SCH-800’의 회로기판에 적혀있는 ‘할 수 있다는 믿음’이란 문구. IMF 금융위기 시기에 출시돼 ‘IMF를 이겨보자’는 의미로 알려져 유명세를 탔으나 실제로는 삼성전자가 모토로라의 아성을 뛰어넘기 위해 새긴 문구로 밝혀졌다.모토로라의 ‘스타텍’을 따라잡기위해 삼성전자가 출시했던 ‘SCH-800’의 회로기판에 적혀있는 ‘할 수 있다는 믿음’이란 문구. IMF 금융위기 시기에 출시돼 ‘IMF를 이겨보자’는 의미로 알려져 유명세를 탔으나 실제로는 삼성전자가 모토로라의 아성을 뛰어넘기 위해 새긴 문구로 밝혀졌다.


역사관을 쭉 둘러봤다면 바로 이어지는 ‘주제관’이 눈에 들어온다. 최고의 수출폰, 명품 브랜드와 콜라보를 맺고 만든 명품 폰, 게임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만든 게임 폰 등 옛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22가지 색다른 주제들로 구성된 이곳은 박물관을 찾는 이들이 뜨거운 관심을 보이는 공간이다. 주말을 이용해 가족들과 폰 박물관을 찾았던 직장인 김민수(38)씨는 “디자인이 비슷한 지금의 스마트폰과 달리 여성을 위해 만들어진 ‘화장품 콤팩트’ 모양의 휴대폰 등 굉장히 다양한 휴대폰이 있었다는 것을 주제관에서 알 수 있어 흥미로웠다”고 말했다.


나머지 두 개의 관은 박물관을 찾은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직접 휴대폰의 과거와 현재를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꾸몄다. 대형 터치 스크린을 이용해 ‘세상을 바꾼 100가지 휴대전화’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하는 콘텐츠와 35m에 이르는 메모리존에 휴대전화들을 시대별로 부착해 휴대전화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옛 향수까지 불러일으킬 수 있는 곳으로 구성했다.

관련기사



▲ 가족의 도움으로 이뤄낸 ‘3,000여대의 유물’

폰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 대부분은 이 관장이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차곡차곡 모은 것들이다. 휴대폰 제조사로부터 기증받은 것은 채 100점이 되지 않는다. 이 관장이 처음 휴대폰을 수집하기 시작한 것도 비슷하다. 이 관장은 “구형 휴대폰들은 소용이 다하게 되면 분해해 베트남이나 다른 국가들로 부품을 수출해 국내에 남아있는 유물들이 많이 없는 편”이라며 “평소 고고학에 심취해 있던 터에 이렇게 유물들이 역사 속에서 사라지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지금의 박물관을 만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렇게 30년을 휴대폰을 모으는 길을 걸어오며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이 관장이 힘을 낼 수 있었던 것은 가족들의 끊임없는 지원과 격려 덕분이었다. 이 관장은 한 휴대폰을 구하기 위해 적게는 몇 십 만원부터 많게는 몇 백 만원까지 들이다 보니 가정 경제가 어려웠는데 가족들이 자신의 활동을 많이 이해해줬다고 말했다. 이 관장은 “처음에 휴대폰을 모으겠다고 말했을 때, 첫째 딸이 가장 좋아했다”며 “올해로 38세인 딸이 자신의 추억이 담긴 휴대폰을 모은다는 내 의견에 가장 많은 지지를 보내줘 지금까지 고마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 폰 박물관 같은 ‘특이한’ 박물관이 많아지려면...

30년 동안 소중히 모아온 휴대폰들로 박물관을 만들었지만 이 관장은 아직 이루고자 하는 게 많다. 이 관장은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산업과 관련된 유물을 전시하는 ‘산업 박물관’ 형태에 대한 부정적인 의식이 깊다”며 “박물관은 사람들이 살아온 흔적을 다루는 곳인데, 왜 농경사회를 다룬 의복이나 청동기 문화의 거푸집 등은 중요하게 다루면서 휴대폰과 같은 산업 사회의 혁명적인 유물은 유물로서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 관장은 “스마트폰이 보급화된 지금, 휴대폰은 예전보다 더 많은 추억을 공유하는 ‘친구’와 같다”며 “휴대폰과 같은 유물을 모아놓은 박물관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우리의 문화적인 소양도 더 깊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여주=이종호기자·주현정인턴기자 phillies@sedaily.com

이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