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오늘의 자동차]르노삼성, 한미 FTA 원산지검증 대응 간담회 개최

22일 이기인(앞줄 왼쪽 네번째부터) 르노삼성자동차 제조본부장, 천홍욱 관세청장,  황갑식 르노삼성자동차 구매본부장 등이 ‘자동차산업 한-미 FTA  원산지검증 대응전략 간담회’를 마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르노삼성22일 이기인(앞줄 왼쪽 네번째부터) 르노삼성자동차 제조본부장, 천홍욱 관세청장, 황갑식 르노삼성자동차 구매본부장 등이 ‘자동차산업 한-미 FTA 원산지검증 대응전략 간담회’를 마치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르노삼성


르노삼성자동차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내년부터 벌어지는 미국 세관의 원산지 직접 검증을 사전에 준비하기 위해 간담회를 열었다.

르노삼성은 23일 천홍욱 관세청장, 류원택 부산세관 통관국장 등 세관 고위관계자들과 르노삼성 협력업체 대표들이 함께 참석하는 ‘자동차산업 한-미 FTA 원산지검증 대응전략 간담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올해 1월부터 국내 완성차의 대미 수출 관세가 완전히 철폐됨에 따라 내년부터 예상되는 미국 세관의 원산지 직접 검증에 대한 사전 준비를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는 르노삼성자동차 및 협력업체의 원산지 검증 대응 역량 강화 및 인프라 지원 등에 대한 논의로 진행됐다.

관련기사



르노삼성은 2014년부터 닛산 로그를 생산해 북미 시장에 수출하고 있으며, 지난 해 11만7,000대 수출로 18억 달러 가까운 수출 실적을 올렸다. 지난해까지 부과되던 2.5%의 관세가 사라지면, 대미 로그 수출은 1대당 약 400달러의 관세 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

르노삼성은 관세 철폐 이후 미국 세관이 대미 수출 완성차의 원산지 관리를 위해 적용 예정인 부가가치기준의 순원가법에 대응하기 위해, 2011년부터 원산지 관리 IT시스템을 구축하고 지난 해는 민·관 합동 자동차산업 FTA 연구회를 발족하는 등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협력업체의 수출 역량 증진을 위한 노력도 함께 진행 중이다. 세관 당국과 함께 진행한 ‘YES FTA 아카데미’는 협력업체의 원산지 관리 등급 향상을 위해 펼쳐졌다. 또한 밀크런 방식을 통한 협력업체의 수출 확대 지원도 함께 시행 중이다.

밀크런(Milk Run)은 정부가 도입한 한중일 글로벌 순회 집하 물류체계다. 한일 양국의 번호판이 부착된 트레일러로 양국 국도를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해, 조달 기간과 재고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르노삼성은 밀크런 방식을 통해 협력회사가 강화된 원가 경쟁력으로 닛산 큐슈공장 수출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실제 34개 부품 협력업체의 밀크런 방식을 통한 수출실적은 2012년 390억원에서 2015년 1,822억원으로 증대됐다.

박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