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그것이 알고 싶다’ 계속되는 2호선 스크린도어 사망사고…문제는 역시 ‘돈’

‘그것이 알고 싶다’ 계속되는 2호선 스크린도어 사망사고…문제는 역시 ‘돈’‘그것이 알고 싶다’ 계속되는 2호선 스크린도어 사망사고…문제는 역시 ‘돈’




‘그것이 알고 싶다’ 서울 지하철 2호선에서 이어지고 있는 사망사고를 재조명한다.


25일 오후 방송되는 SBS 시사교양프로그램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는 지난 5월 28일 발생한 구의역 스크린도어 수리공 김군 사망사건과 관련된 구조적 문제점을 파헤친다.

지난 5월 28일 2호선 구의역서는 스크린도어 수리공 김모씨가 선로 쪽에 붙어있는 스크린도어 센서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려다 역으로 들어오는 열차를 미처 피하지 못하고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하지만 이런 사고는 처음이 아니었다. 당시 출동한 구조대는 “성수역 사고 때도 상황은 비슷했던 것 같다. 두부 쪽이나 시신의 뒤틀림, 부상 위치가 비슷비슷했다”라고 말했다.


3년전 성수역, 작년 강남역에서도 비슷한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관련기사



3년 전 성수역 사고 당시에는 육안으로 하는 일일점검 도중 자의적으로 선로 쪽에서 안전문을 점검하다가 사고를 당했다고 주장했다. 시키지도 않은 일을 하다가 개인 과실에 의해 사고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3번의 사고는 업무 중 발생한 사망이었으며, 열차가 올 때 스크린도어 문을 열고 피하지 못하고 목숨을 잃게 된 것이다. 이날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는 그 해답을 찾기 위해 2003년 당시의 문서를 살펴봤다.

지난 2003년 이명박 전 서울시장 재임 당시 광고회사 유진 메트로컴은 서울 지하철공사에 수리공들의 위험을 전혀 고려치 않은 스크린도어 설계 도면을 제출했고 22년 독점 계약을 통해 막대한 광고 수익을 거뒀다.

사람보다 광고가 중요한 어처구니 없는 상황인 것. 또한 제작진은 원청, 하청, 재하청으로 내려오는 비정상적 하도급 피라미드 현실 속에서 위험의 가장자리에 있는 하청업체 노동자들의 실태를 파악한다.

[사진=SBS 제공]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