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테크

[생생재테크] '현재지향 편향' 극복하기

'52주 저축하기'처럼 매주 저축액 조금씩 늘리면

미래 위해 현재 소비 줄이는 어려움 이길수 있어





임한나 삼성생명 은퇴연구소 책임연구원

행동경제학은 인간이 완전히 합리적이라는 가정에서 벗어나 경제 주체들의 비합리적인 행동을 설명해주는 학문이다. 예를 들어 주식 투자를 할 때 이익이 나는 종목은 얼른 팔아버리고, 손실이 나는 종목은 계속 붙들고 있다가 더 큰 손해를 보는 사람들이 있다. 행동경제학에서는 이것이 손실회피성향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행동경제학을 통해 이처럼 사람들의 행동 뒤에 숨은 심리를 이해함으로써 비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피할 수 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현재지향 편향(Present Bias)’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인간은 미래의 효용과 비용에 대해 합리적으로 판단하지 못하며, 특히 현재에 지나치게 큰 비중을 둔다는 것이 이 심리적 편향의 핵심이다. 미래에 내가 누릴 것들보다 지금 당장 소비하는 일이 더 즐거워 저축을 안 하는 것도 바로 이 편향 때문이다. 하지만 100세 시대를 앞두고 예전보다 길어진 노후에 대비하고 싶다면 현재지향 바이어스부터 극복해야 한다.

관련기사



연초에 해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들어가면 예쁜 유리병 사진과 함께 ‘52주 저축하기 운동(52-week money challenge)’이라는 문구가 올라와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다. 1년 단위로 매주 저축하는 ‘52주 동안 저축하기 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포스팅한 글이다. 유리병에는 첫째 주부터 52번째 주까지 매주마다 저축해야 할 액수가 적혀있다. 이렇게 매주 1,000원씩 금액을 늘려 저축하다가 한 해의 마지막 주인 52번째 주에 5만2,000원을 저축하게 되면 1년 동안 총 137만8,000원을 모으게 된다.

‘52주 동안 저축하기 운동’의 핵심은 저축액을 조금씩 늘려간다는 데 있다. 앞서 얘기한 것처럼 사람들은 미래를 위해 현재의 소비를 희생하는 것을 힘들어한다. 1년에 140만원 정도를 더 저축하는 것은 분명 힘든 일이다. 이번 주에 5만2,000원을 저축하고, 다음 주에는 5만 1,000원을 저축하라고 하면 몇 주 안 돼서 포기하는 사람들이 속출할 것이다. 하지만 이번 주에 1,000원을 저축하고 다음 주에는 2,000원을 저축하라고 하면 현재 포기해야 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기 때문에 부담 없이 이 운동에 참여할 수 있다.

자기통제를 통해 현재지향 편향을 극복하기 어렵다면 52주 저축하기처럼 약간의 트릭을 사용해보는 건 어떨까. 미래를 위해 현재의 소비를 희생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자기 자신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를 만들어보자.

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